775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회복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피해지원자 심층 면접을 기반으로- |
박찬미 |
한국 |
|
이화젠더 13(3) |
2021 |
1모빌리티 권리 |
774 |
디지털성범죄 가해청소년의 범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박은하 |
한국 |
|
교정담론 17(1) |
2023 |
2모바일 공동체 |
773 |
한국의 난민심사 제도 발전 방향: 난민전담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조직과 심사 현장 개선을 중심으로 |
박서연 외 |
한국 |
|
국가정책연구 36(3) |
2022 |
2모바일 공동체 |
772 |
한국의 보충적 난민보호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주요 국가의 보충적 난민보호제도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류지웅 |
한국 |
|
비교법연구 21(1) |
2021 |
2모바일 공동체 |
771 |
메타버스에서의 형사정책적 과제 – 이른바 ‘사이버 인격권’ 개념과 침해유형의 정립- |
류부곤 |
한국 |
|
형사정책 34(2) |
2022 |
1모빌리티 권리 |
770 |
형사재판에서 범죄피해자의 참가범위에 관한 연구 -성폭력 범죄피해자를 중심으로- |
남궁평 |
한국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
1모빌리티 권리 |
769 |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김희란 |
한국 |
|
청소년학연구 29(8) |
2022 |
1모빌리티 권리 |
768 |
남자 청소년 대상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
김희란 |
한국 |
|
청소년학연구 29(4) |
2022 |
1모빌리티 권리 |
766 |
디지털성범죄 대책에 대한 형사정책적 평가 -n번방 사건 이후 5년 무엇이 달라지고 달라지지 않았는가? |
김한균 |
한국 |
|
이화젠더법학 15(2) |
2023 |
1모빌리티 권리 |
765 |
카메라 등 이용촬영범죄와 접촉성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충격 비교 |
김태경 |
한국 |
|
상담심리교육복지 8(6) |
2021 |
1모빌리티 권리 |
764 |
난민법 입법과정과 제정법의 의의 및 향후 과제 |
김종철 외 |
한국 |
|
공익과 인권 12 |
2012 |
2모바일 공동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