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6 |
교통복지 관점에서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 방안 연구 |
한치영 외 |
한국 |
|
한국복지실천학회 13(1) |
2021 |
1모빌리티 권리 |
665 |
포스트 팬데믹 시대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방안 |
문상원 외 |
한국 |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
2021 |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 |
664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1년 11월호] |
|
한국 |
법무부 이민정보과 |
|
2021 |
2모바일 공동체 |
661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0년 12월호] |
|
한국 |
법무부 이민정보과 |
|
2021 |
2모바일 공동체 |
660 |
카메라 등 이용촬영범죄와 접촉성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충격 비교 |
김태경 |
한국 |
|
상담심리교육복지 8(6) |
2021 |
1모빌리티 권리 |
659 |
청소년의 성 의식과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연구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
신현주 외 |
한국 |
|
소년보호연구 34(1) |
2021 |
1모빌리티 권리 |
657 |
2021년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
|
한국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56 |
도시와 건축의 통합계획을 통한 도시 만들기 패러다임의 전환 |
|
한국 |
건축공간연구원 |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55 |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Climate Security Practices |
|
네덜란드 |
Netherland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Clingendael)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53 |
치안용 자율 드론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 및 과제 연구 |
강미영 외 |
한국 |
|
법학연구 32(4)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52 |
연구자를 위한 알기 쉬운 지식재산 활용 지침서 (개정판) |
|
한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51 |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안내 |
|
한국 |
교육부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50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0년 11월호] |
|
한국 |
법무부 이민정보과 |
|
2021 |
2모바일 공동체 |
649 |
교도소에서의 회복적 사법 적용 사례 연구 –입실거부 수용자 대상,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 적용 중심– |
김영식 |
한국 |
|
교정담론 15(1) |
2021 |
2모바일 공동체 |
648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운용개념서 1.0 |
|
한국 |
UAM Team Korea |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47 |
미 바이든 정부 기후변화 대응정책 동향 및 향후 전망 |
|
한국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46 |
A Reassessment of the European Union’s Response to Climate-related Security Risks |
|
스웨덴 |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SIPRI)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44 |
COVID-19 백신 보급에 따른 경계와 모빌리티의 재구조화 -아프리카 대륙의 사례- |
박준홍 외 |
한국 |
|
공간과 사회 31(4) |
2021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643 |
코로나19 대응 및 방역체계 전환 관련 주요 국가 동향 |
|
한국 |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42 |
2021년 다중이용시설 위기상황 매뉴얼 표준안 및 훈련 가이드북 |
|
한국 |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과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639 |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평가 연구(XV) – 민영교도소 운영 10년의 성과 분석 및 발전방안 |
|
한국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
2021 |
2모바일 공동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