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3 |
코로나19 방역 정책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1차~4차) |
|
한국 |
보건복지부 여론과 |
|
2021 |
6환경과 모빌리티 |
461 |
업종공통시설의 환경오염방지 및 통합관리를 위한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
|
한국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
|
2021 |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 |
460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K-TAXONOMY) |
|
한국 |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 |
|
2021 |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 |
458 |
헌법 안에서의 동물의 위치와 국가의 의무 -독일 동물헌법조항의 규범적 의미를 중심으로- |
최희수 |
한국 |
|
환경법과 정책 19 |
2017 |
1모빌리티 권리 |
457 |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의 의미 -동물의 새로운 법적 지위를 위한 시론적 고찰- |
송정은 |
한국 |
|
사법 (59) |
2022 |
1모빌리티 권리 |
456 |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의 규율을 위한 국제적 대응방안에 대한 검토 : 국제법을 통한 규범적 접근을 중심으로 |
김민경 외 |
한국 |
|
서울국제법연구 27(1) |
2020 |
6환경과 모빌리티 |
454 |
동물의 법적지위에 대한 민법 개정논의에 즈음하여 보는 동물보호법 발전방향 -독일 동물보호법‧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
한민지 |
한국 |
|
환경법과 정책 28 |
2022 |
1모빌리티 권리 |
453 |
동물윤리의 토대에서 동물을 위한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적용가능성-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강수경 |
한국 |
|
고려법학 91 |
2018 |
1모빌리티 권리 |
452 |
동물의 법적 지위 변화와 헌법상 동물보호국가로의 전환 모색 |
최희수 |
한국 |
|
환경법과 정책 28 |
2022 |
1모빌리티 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