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
일본 피해자참가제도 시행 7년의 운영 성과와 그 시사점 |
조균석 |
한국 |
|
일감법학 38 |
2017 |
2모바일 공동체 |
95 |
박태진의 ‘런던’ 경험과 코스모폴리탄 산책자의 현대성 – 시적 방법으로서의 ‘세계’ |
임지연 |
한국 |
|
통일인문학 66 |
2016 |
2모바일 공동체 |
96 |
형사재판에서 범죄피해자의 참가범위에 관한 연구 -성폭력 범죄피해자를 중심으로- |
남궁평 |
한국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
1모빌리티 권리 |
97 |
범죄피해자의 헌법적 권리와 적법절차를 통한 보장 |
소병도 |
한국 |
|
홍익법학 17(2) |
2016 |
1모빌리티 권리 |
98 |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피해자조력인의 개념과 역할 |
임보미 |
한국 |
|
성신법학 15 |
2015 |
1모빌리티 권리 |
99 |
장애인 복지정책에서의 이용자 참여 강화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중심으로- |
남용현 |
한국 |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
2014 |
1모빌리티 권리 |
101 |
난민법 입법과정과 제정법의 의의 및 향후 과제 |
김종철 외 |
한국 |
|
공익과 인권 12 |
2012 |
2모바일 공동체 |
103 |
인격권의 법철학적 기초 -인격권의 구조·성장·분화- |
양천수 |
한국 |
|
법과 정책연구 11(3) |
2011 |
1모빌리티 권리 |
104 |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 |
김숙진 |
한국 |
|
대한지리학회지 45(4) |
2010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
106 |
가상공간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조사 |
이향재 |
한국 |
|
디자인학연구 17(3) |
2004 |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