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 Reset
번호 제목 저자 국가 기관/발행처 학술지명 연도 구분
61 교통약자의 이동권 및 교통편의 증진을 위한 법 개정에 관한 연구 노호창 한국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20(3) 2020 1모빌리티 권리
62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의 규율을 위한 국제적 대응방안에 대한 검토 : 국제법을 통한 규범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민경 외 한국 서울국제법연구 27(1) 2020 6환경과 모빌리티
63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한국 대동문화연구 112 2020 2모바일 공동체
64 장애의 개념에 대한 헌법적 고찰 윤수정 한국 공법학연구 21(3) 2020 1모빌리티 권리
65 교통장애인의 교통위험과 이동권 확보에 관한 정책사례분석 김광주 외 한국 사회융합연구 4(3) 2020 1모빌리티 권리
66 이동약자 무장애관광 스코어 개발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이선재 외 한국 장애의 재해석 2020 1모빌리티 권리
67 일본의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정책 고찰을 통한 한국에의 정책적 함의 이선영 외 한국 일본문화학보(86) 2020 1모빌리티 권리
68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박재국 한국 산업융합연구 18(1) 2020 1모빌리티 권리
69 ‘난민면접 조작(허위작성) 사건’을 통해 확인한 한국 난민심사 제도운영의 문제점과 사건 문제제기 과정의 기록 김연주 한국 공익과 인권 2020 2모바일 공동체
70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연구 한상운 한국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6환경과 모빌리티
71 난민법상 난민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와 관련 쟁점 김연주 한국 사회보장법연구 9(1) 2020 2모바일 공동체
72 전자감독제도의 실무상 문제점과 개선 방안 문희갑 한국 보호관찰 20(1) 2020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73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보호법익에 따른 해석기준에 대한 검토 최호진 외 한국 법학논총 44(1) 2020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74 헌법 제37조 제2항의 “법률로써”의 의미 황동혁 한국 지방자치법연구 20(3) 2020 2모바일 공동체
75 드론 택시의 법적 정의 및 법제화 방안 논의 최자성 외 한국 한국항행학회논문지 24(6) 2020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76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 전용민 외 한국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18(1) 2020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77 UAM 개발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항공정책적 제안 신성환 외 한국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35(4) 2020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78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에 관한 기본적 고찰 권용수 외 한국 조세와 법 13(1) 2020 1모빌리티 권리
79 한·중 인쇄광고의 도상학적 이미지 읽기 -친환경 전기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심현준외 한국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9.10. 2019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
80 청소년 성교육 수요조사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조영주 외 한국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2모바일 공동체
81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윤리규범에 대한 소고 김경동 한국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19(3) 2019 3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인프라
82 휠체어 탑승가능 고속/시외버스 정책,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김진희 외 한국 유통경영학회지 22(4) 2019 1모빌리티 권리
83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대상자 범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종세 한국 법학논총 36(2) 2019 2모바일 공동체
84 영화 <고령화 가족>의 각색 연구 신종곤 한국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 2019 5문화 모빌리티
85 모빌리티가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에 미친 영향 -터키 여행공간을 사례로- 이용균 한국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2019 6환경과 모빌리티
86 동서양 문화 특성에 따른 자동차 광고의 시각적 표현과 해석 이봉만외 한국 한국기초조형학회 19(6) 2018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
87 한국에서의 난민여성의 삶과 인권 송효진 외 한국 이화젠더법학 10(3) 2018 2모바일 공동체
88 동물윤리의 토대에서 동물을 위한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적용가능성-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강수경 한국 고려법학 91 2018 1모빌리티 권리
89 헌법 안에서의 동물의 위치와 국가의 의무 -독일 동물헌법조항의 규범적 의미를 중심으로- 최희수 한국 환경법과 정책 19 2017 1모빌리티 권리
90 1920년대 자동차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상 강순천 한국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53 2017 4모빌리티와 생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