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H

2023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입학식

서울시가 노숙인과 저소득층 시민들의 정신적 빈곤 탈피와 자존감 회복, 자립 의지 고취를 위해 지원하는 ‘희망의 인문학’ 입학식이 4월 11일(화) 오후 3시 30분부터 건국대 새천년관 우곡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1, 2부로 나누어 진행되어 이번 입학식에는 150여 명의 입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의 인사말, 전영재 건국대 총장,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의 축사, 수료생의 사례 발표 및 축하공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23년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은 건국대와 서울시립대가 수행하게 되었으며, 입학식을 시작으로 상하반기 특강, 강의, 졸업여행, 수료식으로 진행된다.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인문교양센터(센터장 김주영)는 ‘WITH 인문학 사업단’을 발족하여, 노숙인과 저소득층 시민들의 자존감 회복과 정서적 지원을 위해 철학, 문학(글쓰기), 역사 심리상담 등의 기본교과 강좌를 비롯해 문화예술 프로그램, 문화공연 관람 등 체험 학습을 제공할 예정이다.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출간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은 최근 모빌리티인문학 총서(아상블라주)의 일환으로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를 출간했다.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는 근대 모빌리티의 에토스를 성찰하고 공통의 문화를 구상하기 위해서 모빌리티인문학을 이끌고 있는 국내 학자 10인의 연구논문 9편을 모아 총 3부로 기획되었다. 1부 ‘모빌리티: 자유, 권리, 정치’에서는 모빌리티 커먼즈, 장애인 이동권, 재개발 모빌리티 장치 등을 중심으로 근대 모빌리티 에토스에 대한 비판과 그 극복에 관해 논의했다. 2부 ‘모바일 공동체와 모빌리티 윤리’에서는 지구적 장소, 명소, 택시 등 특정한 이동 공간들을 중심으로 장소와 모빌리티에 관한 윤리적 탐구를 시도했다. 마지막 3부 ‘역사적 (임)모빌리티의 문화와 정치’에서는 일제강점기 한센인 정책, 블라디보스토크 경관, 필라델피아와 로스앤젤레스 한인들의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에토스에 대한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객체지향 지도학』 출간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은 최근 모빌리티인문학 번역총서(인터커넥트)의 일환으로 『객체지향 지도학』을 출간했다. 이번 총서는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교(University of Padova) 역사지리학과에 재직 중인 타냐 로세토(Tania Rossetto) 교수의 Objected-Oriented Cartography(2019)를 번역한 것이다.

타냐 로세토는 『객체지향 지도학』에서 지도학 분야에 이른바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이론을 도입해 지도를 하나의 객체로 조명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지도 연구에서 객체성(objecthood)과 물질성(materiality)의 사유가 과연 무엇인지를 탐구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이 책에서 펼쳐내고 있는 물질로의 전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포스트휴머니즘, 객체지향 철학을 통해 제시되는 이론과 지도학의 대화는 ‘지도학적 인문학’이라는 학제적 관점의 연구 결과물로 그 가치가 있다.

2023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프로그램 지원사업 선정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 HK+인문교양센터는 2023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프로그램 지원사업(연구책임자 김주영)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노숙인 및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인문학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정신적인 빈곤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서울 소재 대학(행복과정) 2곳이 선정되었으며, 3월부터 12월까지 입학식, 강의 및 체험학습, 전문가 특강, 졸업여행, 수료식 및 전시회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인문교양센터는 이번 서울시의 희망의 인문학 사업을 <WITH 인문학>이라고 명명하여, 모두가 함께 공존하며 사회적 유대감을 회복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WITH 인문학>은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지식을 누리고(Widening) 자존감을 높여 자립 의지를 고무함으로써(Inspiring) 모두가 함께 공존하는(Together) 인문학(Humanities)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커리큘럼은 4개 영역의 8개 강좌 및 각 영역을 현장에서 체득하는 체험학습으로 구성하였다. 철학 영역을 통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문학 및 미술치료를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상담 및 심리학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관조하며, 경제, 예술, 미디어 등을 통해 자기개발 및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강의 및 체험학습을 기획하고 있다.

HK+ 인문교양센터 김주영 센터장은 “<WITH 인문학> 사업을 통해 노숙인들이 인문적 교양에 기반하는 시민의식을 고양시키고,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여,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성과가 대내외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