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H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총서, 2025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모빌리티 전환 운동모빌리티를 혁신하는 인공지능2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우리 연구원의 총서 2종이 선정되었습니다.

세종도서 지원사업은 우수한 학술·교양 도서를 선정해 공공도서관 등에 보급함으로써 지식 확산과 독서문화 진흥을 도모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학술부문은 2024년 6월 1일부터 2025년 4월 30일까지 초판이 발행된 도서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10개 분과에서 접수된 2,289종 중 353종이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우리 연구원 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빌리티 전환 운동: 저탄소 미래를 위한 공유화 모빌리티》(2025)
국제 비교연구 프로젝트의 성과로, 공동연구원 피터 애디(Peter Adey)를 비롯한 해외 연구진이 참여했습니다. 용인대 김나현 교수가 번역을 맡았으며, 14개국과 국제기구(EU, UN 등)의 정책과 사례를 검토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전환과 국제 협력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모빌리티를 혁신하는 인공지능》(2024)
엘디랩(주) 김효주 대표가 집필한 저서로, 인공지능 기술이 모빌리티 산업에 가져올 변화와 윤리적 과제를 탐구합니다.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과 불평등, 자율주행차의 윤리 문제 등을 다루며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포용적 기술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번 선정은 우리 연구원의 연구 성과가 학술적·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앞으로도 우리 연구원은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연구와 지식 공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인문교양센터와 함께하는 인프라인문 시민강좌 개최

장소 : 건국대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대상 : 재학생 약 200명

일시 및 내용 : 2025년 11월 17일(월)

  • 1~2교시 <한국영화 속 기차 이야기> 강사: 김효정(추계예술대)
  • 3~4교시 <위성이 보내는 예술 : 백남준의 놀라운 실험 이야기> 강사: 김윤지(고려대)
  • 5~6교시 < AI, 세상을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힘> 강사: 김효주 (엘디랩)

문의 :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인문교양센터 (02-455-3767)

2025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컨퍼런스 참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인프라인문 아카데미 프로그램(인터링크)의 일환으로서 싱가포르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에서 2025년 10월 30일, 31일 양일간 개최되는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지난 7월에 상호협력협약을 맺은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아시아연구소(Asia Research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가 주최하고, 아시아연구소, 싱가포르기술디자인대학교의 리콴유혁신도시센터(Lee Kuan Yew Centre for Innovative Cities,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이 참여하는 행사이다. “아시아의 디지털 워크 모빌리티, 도시 변화(Digital Work, Mobilities and
Changing Cities in Asia)”를 주제로, 아시아의 새로운 디지털 노동 양식, 물질성, 그리고 모빌리티의 확산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소속 연구인력들은 컨퍼런스 첫날 ‘거버넌스(Governance)’ 세션에서 발표를 맡았다. 김태희 HK교수가 “한국의 디지털 사회 인프라: 에릭 클리넨버그의 ‘사회 인프라’ 개념을 바탕으로 한 시장 플랫폼 ‘당근’ 분석”, 임보미 HK연구교수가 “범죄자와 노동자 사이: 한국 사회의 디지털 감시 메커니즘의 닮은꼴”, 윤홍석 HK연구교수가 “새로운 현실의 구현: 아바타 체현을 통한 포용적 가상 이동성” 이라는 주제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아시아연구소 간 연구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아시아 지역 학술 네트워크 확장을 도모했다.

The current image has no alternative text. The file name is: Programme-Digital-Work-and-Mobilities-as-of-22-Sep-pdf.jpg

2025 아시아 저널 네트워크(AJN) 컨퍼런스 참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2025 아시아 저널 네트워크(Asian Journals Network, AJN) 컨퍼런스에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 상해교통대학교 저널센터 외국어 학부(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Journal Center), 외국어학부(School of Foreign Languages, SJTU), 서사학 융합센터(Center for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Narrative, SJTU), 《서사연구의 전선(Frontiers of Narrative Studies)》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아시아 저널 네트워크는 아시아 지역 기반 국제저명학술지 네트워크로서, 현재 31개의 아시아 지역 저명학술지들이 함께 하고 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의 자문위원인 마리아 루이사 토레스 레예스(Maria Luisa Torres Reyes) 교수가 창립자이자 의장을 맡고 있으며, 특히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AI 기술 발달에 따른 학술지 편집에 관해 논의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이진형 HK교수는 ‘새로운 연구지형 개척(Cultivating New Terrains)’ 세션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 개발(Developing a New Research Field)”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했다.

https://sfl.sjtu.edu.cn/En/Data/View/9689

반포시민대학과 함께하는 인프라인문 시민강좌 개최

일 시 : 2025년 10월 23일 (목) ~ 11월 13일(목) 10:00~12:00
장 소 : 서초구립반포도서관 1층 다목적실
신청방법 : 서초구립반포도서관 홈페이지 신청(무료) https://www.seocholib.or.kr/Cultural/CulturalDetail/2508/2

<세부일정>
제1회 10월 23일(목) 강사 : 김윤지 (고려대학교)
백남준의 <굿모닝 미스터오웰>이 가능했던 인공위성 인프라

제2회 10월 30일(목) 강사 : 김효정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영화 속 기차의 재현 : <바보들의 행진>과 <가시를 삼킨 장미>를 통해

제3회 11월 6일(목) 강사 : 김효주 (앨디랩)
AI 기술과 그 기반, AI 인프라

제4회 11월 13일(목) 강사 : 김효주 (앨디랩)
기술 뒤의 사회: AI 인프라 다시 보기

The current image has no alternative text. The file name is: 건대인프라인문-시민강좌_0917-scaled.jpg

HK인프라 리빙랩 전문가 특강 <안전한 모빌리티 인프라 프로젝트> 개최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인문교양센터는 지역 이동 환경 개선을 위한 리빙랩 활동의 일환으로 전문가 특강을 개최합니다.

이번 특강에는 시민주권센터 손정혁 대표가 연사로 참여해
「리빙랩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합니다.

리빙랩의 개념과 사회적 의미, 시민 참여 기반의 문제해결 방식 등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소개하며, 지역의 이동 환경을 개선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일시: 2025년 10월 17일(금) 오후 3시 ~ 5시
장소: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1106호

지역사회 변화에 관심 있는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