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s

박해리

프로필

  • 퀸 메리 런던대학교, 강의(2021.08.~2022.01.)
  • 미국 테네시대학교, 조교/강의(2015.08.~2016.12.)
  • 미국 테네시대학교 라이팅 센터, 튜터(2015.08~2016.08.)

연구성과

  • “Information as Power and the Crisis of Autonomous Thought in Caryl Churchill’s Love and Information”, 『영어권문화연구』18(1), 2025.
  • “Dramatising a Vicious Circle of the United States’ Hypermasculine Politics: Christopher Shinn’s Dying City”,”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71(1), 2025.
  • The House of Bernarda Alba by Federico García Lorca (review),” Theatre Journal 76(3), 2024.
  •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느린 폭력성’의 극화: 루시 커크우드의 The Children」, 『현대영미드라마』 37(2), 2024.
  • Global Neoliberal Capitalism and Feminism in Caryl Churchill’s Twenty-First Century Plays: Theatrical Forms and Affect, 2024.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Doctoral dissertation.

이미애

연구성과

  • 「일본 나고야 지역의 전쟁 기억과 박물관」, 『比較日本學』 59, 2023.
  • 「오키나와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 박물관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70, 2023.
  • 「박물관과 역사수정주의에 관한 일고찰 –일본의 국공립 평화박물관에서의 ‘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日本文化研究』88, 2023.

최일만

연구성과

  • 「존재 너머의 일자로서의 주체 : 신체적 주체성에 관한 레비나스의 사유」, 『현상학과 현대철학』 104, 2025.
  • “Dangers and Potentialities of Highly Mobile World: An Ethical Evaluation”, Kritike Vol. 14 No. 3, 2021.
  • 「초기 후설에서 지향의 동적 개념」, 『철학과 현상학 연구』 64, 2015.
  • 「노에마와 대상」, 『철학과 현상학 연구』 36, 2008.
  • 『휴버트 드레이퍼스』, 서울: 컴북스, 2025. (근간)
  • 루이스 새스, 『망상의 역설: 비트겐슈타인, 슈레버, 조현병적 정신』, 서울: 필로소픽, 2025. (역서)
  • 마이클 프리드먼, 『다보스에서의 결별: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갈림길』, 서울: 필로소픽, 2022. (역서)
  • 토머스 네일, 『존재와 운동』, 서울: 앨피, 2021. (역서)
  • 데이비드 시먼,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서울: 앨피, 2020. (역서)
  • 애니타 퍼킨스, 『여행 텍스트와 이동하는 문화』, 서울: 앨피, 2020. (역서)
  • 피터 애디, 『모빌리티 이론』, 서울: 앨피, 2019. (역서)
  • 휴버트 드레이퍼스, 『인터넷의 철학』, 서울: 필로소픽, 2015. (역서)

윤홍석

프로필

  •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UCD), 스마트랩 선임연구원 (2017-2024)
  •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UCD), 기계·재료공학부 연구조교 (2017 -2020)
  •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 소셜 컴퓨팅랩, 보조연구원(BK21+) (2013-2015)

연구성과

  • “Embodying Empathy: Inclusive Virtual Reality for Extreme User Experience”, 2024, University College Dublin, Doctoral Dissertation.
  • “스마트오더 앱 디자인: 상호작용성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1000-1003, 2024.
  • “달리기 위한 동기: 코스 추천 방식과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한국HCI학회, 1021-1024, 2024.
  • “게임 플레이를 위한 절실한 여정: 주변을 완전히 인지하지만, 그 무엇과도 상호작용할 수 없다면?”, CHI 스토리, 2019.
  • “Information tailoring and framing in wearable health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53(2), 2017.
  • “Health information tailoring and data privacy in a smartwatch as a preventive health tool: Qualitative study of us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Proceedings of the HCI International conference, 537-548, 2015.
  •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헬스 콘텐츠 전략 탐색: 정보와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6(1), 85-96, 2015.
  • “Wearable health information: Effects of comparative feedback and presentation mode“, In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ACM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73-2078, 2015.
  • “Personalize or customize? Effects of information tailoring in mobile health communication“, In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Human-Oriented and Personalized Mechanisms, Technologies, and Services, 2014.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regulatory approaches in the US and Korea”, In 25th European Reg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ociety, 2014.
  • “Governing network neutrality: Public perception and policy capacit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ase & E-Tech,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