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돋움
2025.06.27~2025.12.26 / 건국대 새천년관 1106호
인프라에 관한 인문학·사회과학의 주요 저술 학습을 통하여, 인프라 인문학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다.
제1회 북돋움
일시 : 6월 30일 (월) 15:00~17:00
주제
1) 각 세부과제 팀별 논문 발제 및 토론
2) 인프라인문학의 대상이자 방법론적 , ‘ 렌즈로서 인프라 에’ 대한 논의
3) 인프라의 범위에 대한 논의<텍스트팀 발제>
이정, 「기반 시설, 혹은 사회생태 기간망을 통한 생태적 역사학」, 『개념과 소통』 33, 2024, 317-354<에토스팀 발제>
구동현, 「인프라적 공간을 배회하는 신자유주의라는 유령: 자유화와 시장화를 추동하는 신자유주의의 모빌리티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회와이론』 50, 2025, 179-211<초객체팀 발제>
김태희,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2025 인프라 인문학 국내학술대회 자료집』, 2025, 33-51제2회 북돋움
일시 : 8월 4일 (월) 15:00~17:00
주제
1) 각 세부과제 팀별 논문 발제 및 토론
2) 라투르에 있어 사물의 의회 개념의 유효성에 대한 토론
3) 인프라인문학에서 인프라 개념의 위치에 대한 토론<초객체팀 발제>
Adey, Peter, Jinhyoung Lee, Giada Peterle, and Tania Rossetto. “Mobility, Infrastructure, and the Humanities.” Mobility Humanities 3(1), 2024, 1-17<텍스트팀 발제>
Bridges, Mary, “The Infrastructural Turn in Historical Scholarship”, Modern American History 6(1), 2023, 103-120제3회 북돋움
일시 : 9월 1일 (월) 15:00~17:00
주제
1) 각 세부과제 팀별 논문 발제 및 토론
2) 인프라를 행위자 관계적 / 구조로 이해하는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모빌리티 인프라 인문학 연구에 적용할 방법・지표・ 케이스의 윤곽을 탐색.
3) 모빌리티에서 인프라로 아젠다 범주가 확장됨을 인프라의 정의와 방법론을 통해 인식<초객체팀 발제>
Larkin, Brian. “The Politics and Poetics of Infrastructure.”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42, 2013, 327-343<텍스트팀 발제>
Star, Susan Leigh, “The Ethnography of Infrastructur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3(3), 1999, 377-391제4회 북돋움
일시 : 9월 29일 (월) 10:00~12:00
<초객체팀 발제>
Slota, Stephen C. and Geoffrey C. Bowker, “How Infrastructures Matter”,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edited by U. Felt et al. 4th ed.,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17, 529-554<에토스팀 발제>
Rodgers, Dennis, and Bruce O’neill. "Infrastructural violence: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Ethnography 13.4 (2012): 4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