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목) 10시~12시
기술 뒤의 사회 : AI 인프라 다시 보기
1. AI 인프라의 기술적 토대2. AI 인프라 기술과 사회적 영향 ※ 인공지능 기술 체험
김효주, 엘디랩
2025-11-06(목) 10시~12시
AI 기술과 그 기반, AI 인프라
AI 인프라스트럭쳐는 “국가와 기업의 기술 주권(Technological sovereignty)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전략자산” # 기술적 관점: AI 모델이 학습·추론 과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확장 가능하도록 뒷받침하는 등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시스템 # 포괄적 관점: 단지 기술적 요소의 집합이 아니라, 그것이 현실 세계에서 작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조건들과 긴밀히 연결된 복합적 체계
김효주, 엘디랩
2025-10-30 (목) 10시~12시
한국영화 속 기차의 재현 : <바보들의 행진>과 <가시를 삼킨 장미> 를 통해
・인류 최초의 영화에서부터 ‘기차’는 주요한 아이콘으로 등장했고, 기차의 움직임, 존재, 역동성은 이제 막 태어난 영화 매체의 정체성과도 궤를 같이 했다.・한국 영화의 경우, 기차는 뤼미에르 형제와 그 이외의 서양 영화 (특히 웨스턴) 에서의 맥락과는 달리 주로 부정적이거나 위험한 존재로 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가시를 삼킨 장미>의 경우, 기차의 모더니티적 상징은 여성 주인공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하여 치명적이고 위험한 (어디든 데려가준다는 […]
김효정, 추계예술대학교
2025-10-23 (목) 10시~12시
백남준의 <굿모닝 미스터오웰>이 가능했던 인공위성 인프라
① 예술, 넌 누구니?② 백남준의 삶과 작품들을 조망하다③ <굿모닝 미스터오웰>을 이해하다 ① 예술, 넌 누구니? “예술작품은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입니다. 하지만 인간이 그 해답입니다.”-요제프 보이스- 거꾸로… 반대로…열린 세계로 해방시키다.그 대표적인 주자가 백, 남, 준 백남준(1932~2006)재미동포 예술가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행위예술가, 사상가, 작고가 ② 백남준의 삶과 작품들을 조망하다 1970년에 백남준은 슈야 아베라는 엔지니어와 함께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
김윤지, 고려대학교
2025-09-15 (월) 14시 ~ 16시 성동구민대학 202호
AI와 AI 인프라
AI 기술 트렌드 • 생성형 AI, 멀티모달 학습, 딥러닝 등의 개념 소개.• AI와의 협력: AI를 인간의 역량을 증폭시키는 파트너로 삼을 것을 제안.• 미래 AI 기술: 에이전틱 AI, 피지컬 AI 등을 소개.• 글로벌 동향: AI에 대한 기록적인 투자와 활용. AI 인프라와 사회적 영향•AI 인프라의 정의: AI 인프라에 대한 기술적 관점과 포괄적 관점.• 물리적·자원 인프라: 광물 자원, 에너지, […]
김효주, 엘디랩
2025-09-08 (월) 14시 ~16시 성동구민대학 202호
걸작을 낳은 시대별 인프라 찾기 : 백남준의 <굿모닝 미스터오웰>이 가능했던 인공위성 인프라
① 인공위성과 디지털 아트의 관계성② <굿모닝 미스터 오웰>의 작품 탐구와 인공위성인프라(위성 방송)③ 원형적 작품 VS 인프라로 변형된 작품의 유사성과 독자성④ 시대 작품별 인프라로 본 백남준 예술의 정리 및 가치
김윤지, 고려대학교
2025-09-01 (월) 14시 ~ 16시 성동구민대학 202호
대중 영화 속 인프라의 재현 : 기차의 영화적 재현을 통해
박정희 정권 아래 산업화와 교통 발달이 급속히 진행되던 시기, 정부는 영화에 현대적 공간(기차, 버스터미널, 아파트 등)을 적극적으로 등장시키는 문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로 인해 당대 영화에서는 기차가 인물의 이동, 만남, 이별, 일탈 등을 표현하는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 자주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 강의에서는 하길종 감독의 『바보선언』(1975) 과 정진우 감독의 『나는 너를 사랑해』(1979) 주요 사례로 삼아 1970년대 영화 […]
김효정, 추계예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