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서 통권 12호 <교정 단계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필요성과 확대 방안>

응보 중심의 전통적인 사법 체계 속에서 회복적 정의가 어떤 형사정책적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실제로 적용한 주요 사례들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회복적 사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