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s

김주영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부편집장 (2022.01. ~ 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편집위원 (2020.07. ~ 현재)
  • 모빌리티 인문교양센터, 센터장 (2018.06 ~ 현재)
  •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부원장 (2018.06 ~ 현재)
  • 한국일본어문학회, 부회장 (2021.03 ~ 2023.02)

연구성과

  • “Youtube digital storytelling of Korean uninhabited Islands,” Kritika Kultura 44, 2024.
  • “A Cross-Section of Korean People’s Thoughts on the Immobility Situ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14(1), 2024.
  • “The Narratives of Mobility in Literary Texts: Three Types of Novels in Korea and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13(1), 2023.
  • “A Study on Reconstruction of Movement and Space in Bashō’s Haiku: Movement and Space on Horse,” Kritika Kultura 38, 2022.
  • “A Korean Mobility-Themed Novel Read from an Ethical Literary Criticism Perspective: The Green Juice Girl has No Time for sorrow”,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5(4), 2021.
  • “Considerations for the Direction of Mobility Humanities Education: Focused on Study Cases of the Mobility Humanities Education Center of Konkuk University,”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 2021.
  • “Islamic Butcher Shop Read as a Refugee Novel,” KRITIKA KULTURA​ 36, 2021.​
  • 「이동성과 부동성의 서사: 미야모토 유리코의 『반슈 평야(播州平野)』론」, 『日本語文學』 85, 2020.
  • “Exploring Humanistic Layers of Urban Travel Representation, Imagination, and Speculation,” Transfers 9(3), 2019.
  •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재해석」, 『日本語文學』 82, 2019.
  • 「모빌리티 위기로서의 원전 재해지역을 통해 본 부흥과 재해의식 -<ふくしま>와 ‘フクシマ’와 “Fukushima”의 부흥-」, 『日本語文學』 79, 2018.
  • “Mobility to Homeland Depicted in Narrations in Korean-Japanese Literature: The Meaning of ‘Boarding House’ in Yuhee by Yangji Lee and ‘Hawaii’ in GO by Kazuki Kaneshiro,”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8(2), 2018.
  • “A Study on the Cosmology in Lühichunqiu: Focusing on “Huandao” and “Dayue”,”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5(4), 2018.
  • 「이회성의 유역으로 연구 -죄의식 서술을 통한 이동 서사의 방법화-」, 『일어일문학연구』 102(2), 2017.
  • 「’주의(-ism)’와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작가의 서사전략과 텍스트 해석의 제 문제-」, 『日本語文學』 73, 2017.
  • “A study on Miyamoto Yuriko’s Ethical Choice in Her Novel Writ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1(1), 2017.
  • 「다문화문학 교육교재로서의 재일문학 텍스트 읽기 -이양지의 <유희>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72, 2017.
  • “The Identity of a Young Intellectual of Colonial Korea: Focusing on Into the Light by Sa-ryang Kim,” KRITIKA KULTURA 28, 2017.​
  •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풍경과 감성 -프로문학과 페미니즘의 진폭-」, 『日本語文學』 64, 2015.
  • “Ethics of Father and Son in Ri’s 流域へ (Watershed Above) and Kaneshiro’s GO,”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17(5), 2015.​
  • “Trends of Studies on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Centered on Modern Literature,” Foreign Literature Studies 37(3), 2015.
  • “New Horizon for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Literature in Korea: Centered on Multicultural Imagination Shown in Son Hong-gyu’s Novel and Ha Jong-oh’s Poetic Literature,”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92, 2015.
  • 「대학에서의 일본문학 교육의 가능성 -정치・경제적 사고 일변도를 경계하며-」, 『일본연구』 38, 2015.
  • 「재일문예 『민도(民濤)』 연구 -『민도』의 서지 고찰과 이회성의 문제의식-」, 『日本語文學』 62, 2014.
  • 「다문화교육 텍스트로서의 재일문학 -가네시로 가즈키의 『GO』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61, 2014.
  • “China at the Crossroads of Globalism and Localism -A Review of Jungrae Jo’s Great Jungle,” Foreign Literature Studies 36(1), 2014.
  • 「근대적 여성 정체성의 함정 -미야모토 유리코의 『노부코』-」, 『日本語文學』 57, 2013.
  • 「미야모토 유리코의 미국관」, 『日本語文學』 55, 2012.
  • 「미야모토 유리코(宮本百合子)의 「『어떤 여자』에 대한 노트」를 통해 읽는 『노부코』」, 『日本語敎育』 62, 2012.
  • 「미야모토 유리코의 여성적 글쓰기 -결혼모티프를 통해 본 『노부코』와 『암야행로』-」, 『세계문학비교연구』 41, 2012.
  • 「미야모토 유리코(宮本百合子) 문학의 신체표현 – 『노부코(伸子)』도입부 분석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53권 ,2012.
  • 「미야모토 유리코(宮本百合子) 문학에 나타난 주인공 분석」, 『日本學硏究』 35(1), 2012.
  • 「김사량의 『빛 속으로』를 통해 본 균열의 제국」, 『세계문학비교연구』 37, 2011.
  • 「미야모토 유리코의 『반슈 헤야(播州平野)』론 -1945년 8월 15일의 풍경과 ‘제국’의 ‘전후’-」, 『日本語敎育』 58, 2011.
  • 「일본 포스트모던 소설과 은폐된 ‘모성애’」, 『日本語文學』 49, 2011.
  • 「일본 근대소설과 이동, 교류의 전략적 글쓰기: 미야모토 유리코 문학의 전면적 재평가」, 『日本語文學』 56, 2011.
  • 「현대 일본의 청춘서사 읽기 -에쿠니 가오리의 『도쿄타워』의 ‘상징’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48, 2011.
  • 「식민지 지식청년의 ‘자기윤리’: 김사량의 『빛 속으로』를 중심으로」, 『日本語敎育』 55, 2011.
  • 「‘재일동포’ 학자의 디아스포라적 ‘지’의 계보에 관한 조사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19, 2010.

  • 『디아스포라와 이동성』,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서울: 앨피, 2016.
  •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사이, 서울: 지금여기, 2012.
  • 『벚나무와 마술 휘파람 외』, 서울: 재팬리서치21, 2010. (역서)
  • 『100년 전 일본인의 한국 넘보기』, 서울: 재팬리서치21, 2010. (역서)
  • 『아시아와 디아스포라』, 서울: 지금여기, 2009.
  •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서울: 박이정, 2007.
  • 『일본어 word power』, 서울: 동인랑, 1995.

이진형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부편집장 (2022.01. ~ 현재)
  • Mobilities, 편집위원 (2023.01 ~ 현재)
  •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History of Transport, Traffic and Mobility (T2M), 운영위원 (2021.11. ~ 현재)
  • Book Series “Posthumanities and Citizenship Futures” (Rowman and Littlefield), 자문위원 (2021.09. ~ 현재)
  • The Antoninus Journal, 인문학 부편집장 (2021.02. ~ 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편집위원 (2020.07. ~ 현재)
  • Tugkad, 편집위원 (2022.01. ~ 현재)
  • 한국근대문학회, 편집위원 (2016.01. ~ 현재)

연구성과

  • “Climate change, planetary biographies, and symbioticmobility,” Mobilities 19(5), 2024.
  • “Mobility Necropolitics and Harmless Islanders,” Kritika Kultura Vol. 43, 2024.
  • “Mobility, Empire, and “Island” in Colonial Korea,” Kritika Kultura Vol. 40, 2023.
  • “An Introduction to the Afterlife of “On the Road”,” Kritika Kultura Vol. 38, 2022.
  • “Mobility Infrastructure, Literary Ethics, and Anti-Colonial Politics,”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5-4, 2021.
  • “Introduction to the Kritike Special Issue: Philosophical Thoughts in the Age of High Mobility,” KRITIKE 14-3, 2021.
  • “Mobility Biopolitics and the Aquarium as a Paradigm of Political Space,” KRITIKE 14-3, 2021.
  • “Colonial Mobility and the Biopolitics of the Colonial Non-Place,” Kritika Kultura 36, 2021.
  • “Textual Representation of Colonial Mobilities and the Politics of Emancipation,”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7(5), 2020.
  • “Exploring Humanistic Layers of Urban Travel Representation, Imagination, and Speculation,” Transfers 9(3), 2019.
  • 「식민지 모빌리티 시스템과 사이공간의 생명정치」, 『구보학보』 23, 2019.
  • 「전후 일본인의 ‘업루티드'(uprooted)된 정체성과 혐한(嫌韓)​의 감정적 원천: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 『만엔 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ール)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31, 2019.
  • 「대안적 디아스포라 이해와 그 이론적 난국 (서평)」, 『다문화사회연구​』​ 12(1), 2019.
  • “Living the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9(1), 2019.
  •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 방법의 모색」, 『대중서사연구』 24(4), 2018.
  • “A Study on the Perspective for Zainichi Literary Studies in the High-Mobility Era,”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8(2), 2018.
  • “Art vs. Politics – Criticism on the Novel in Early Modern Korea,” UNITAS 91(1), 2018.
  • “Haim Haza​n, The Critical Reconsideration on the Hybridity in the Global Era (Review on Against Hybridity),”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5(3), 2018.
  • “Im Hwa, Hybridity, and the Anti-Colonial Politic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RITIKA KULTURA 30/31, 2018.
  •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대중서사연구』 23, 2017.
  • 「확장된 각색 인식과 상호텍스트성의 정치학」, 『대중서사연구』 22(4), 2016.
  •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일본어문학』 69, 2016.
  • 「대중서사와 문학의 ‘윤리적 전회’」, 『대중서사학회』 22(2), 2016.
  • 「민족문학, 제3세계 문학, 그리고 구원의 문학: 구중서의 민족문학론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7, 2016.
  • 「식민지 시기 여가와 불모의 헤테로토피아」, 『비평문학』 57, 2015.
  • “Mass Media and The Imagination of Multicultural “Talk”,”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2(5), 2015.
  • 「치안의 유토피아와 정치의 (불)가능성」, 『한국학 연구』 37, 2015.
  • 「일제 말기 ‘역사’ 담론의 아포리아와 그 초극의 문제」, 『한국근대문학연구』 29, 2014.
  • 「신의와 효, 그리고 또 다른 도덕」, 『한국학연구』 32, 2014.​
  • 「‘출산(出産)’과 ‘황국신민(皇國臣民)’의 미래」, 『대중서사학회』 30, 2013.
  • 「식민지 말기 김남천과 글쓰기의 문제」, 『현대문학의 연구』 51, 2013.
  • 「임화와 문학의 정치」, 『비평문학』 46, 2012.
  • 「김남천, 식민지 말기 ‘역사’에 관한 성찰」, 『현대문학이론연구』 47, 2011.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바일 라이프』, 서울: 앨피, 2021. (역서)
  • 『모바일/임모바일』, 서울: 앨피, 2021. (역서)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혼종성 비판』, 서울: 앨피, 2020. (역서)
  •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 서울: 앨피, 2019.
  • 『모빌리티와 인문학』, 서울: 앨피, 2019. (역서)
  • 『한국학과 감성 교육』, 서울: 앨피, 2018.
  • 『각색 이론의 모든 것 : 무엇을 누가 왜 어떻게 어디서 언제』, 서울: 앨피, 2017. (역서)
  • 『혼종성 이후』, 서울: 앨피, 2017.
  • 『디아스포라 지형학』, 서울: 앨피, 2016.
  •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서울: 앨피, 2016.
  • 『구중서 그의 문학을 걷다』, 서울: 소명출판, 2015.
  •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서울: 소명출판, 2013.
  • 『현대 사회와 비판적 글쓰기』, 서울: 박이정, 2013.
  • 『바흐친의 산문학』, 서울: 책세상 2006. (역서)

김태희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부편집장 (2022.01. ~ 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윤리위원장 (2020.07. ~ 현재)
  • 한국현상학회, 편집이사 (2017.01. ~ 2018.12)
  • 한국현상학회, 총무이사 (2015.01. ~ 2016.12)
  • 박완서기금, 연구펠로우 (2013.06. ~ 2014.02)
  •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일반연구원 (2013.02. ~ 2014.02)
  • 독일 쾰른대학 Husserl Archiv, 초청연구원 (2008.09. ~ 2009.02)

연구성과

  • “The mobility biography of things and the climate emergency,” Mobilities 19(5), 2024.
  • 「초국적 이주의 시대, 북한 이주민의 이주자본과 상호문화주의」, 『통일인문학』 99, 2024.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Islandness as a Global Sense of Place,” Kritika Kultura 44, 2024.
  • 「인간-비인간의 상호물질성 –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기후위기 대처를 위한 제언」,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4(3), 2023.
  • 「시간의식 현상학 자연화의 의의와 한계」, 『인문학연구』 39, 2023.
  • 「시간의식의 현상학과 신경과학: 인문학기반 융합연구로서의 신경현상학을 중심으로」, 『융합인문학』 11(2), 2023.
  • “An Interview with Thomas Nail,” Mobility Humanities Vol. 2, No. 1, 2023.
  • “Introduction: Ontology of Movement as a Framework for the Mobility Studies,” Mobility Humanities Vol. 2, No. 1, 2023.
  • 「고도 모빌리티 시대, 지구적 장소윤리를 위하여」, 『서강인문논총』 65, 2022.
  • “Interview with Mimi Sheller,” Mobility Humanities Vol.1, 2022.
  • “Introduction: Mobility Justice and the Era of (Post-)Pandemic,” Mobility Humanities Vol.1, 2022.
  • “Ethics of Place in a High-Mobility Era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5(4), 2021.
  • “From Immobility to Mobility: The Korean DMZ as a Heterotopia,”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2), 2021.
  • “How Mobility Technologies Change Our Lived Experienc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Sense of Agency in the Autonomous Vehicle,” Kritike 14(3), 2021.
  • “Significance of Kinaesthesis for Mobility Humanities: A Phenomenological Contribution to the New Mobilities Paradigm,” Universitas –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7(5), 2021.
  • 「철학과 과학의 융합연구 방법론 모색-선행적재 현상학에 대한 메타연구 및 현상학적 연구」, 『철학사상』 75, 2019.
  • “Exploring Humanistic Layers of Urban Travel Representation, Imagination, and Speculation,” Transfers 9(3), 2019.
  • 「체화된 인공지능의 상황과 환경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현상학과 현대철학』 83, 2019.
  • 「모빌리티와 장소 현상학, 대중서사 연구의 한 관점 -데이비드 시먼의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52, 2019.
  • 「모빌리티 인공지능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인공지능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과학철학』 21(3), 2018.
  •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철학사상』 68, 2018.
  • 「인공지능의 몸 : 현상학적 고찰」, 『철학과 현상학 연구』 73, 2017.
  • 「동물의 마음을 어떻게 아는가?: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 기초하여」, 『철학논총』 86(4), 2016.
  • 「동물의 인격 –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철학과 현상학 연구』 70, 2016.
  • 「근원연상의 현상학」, 『철학연구』 106, 2014.
  • 「발생적 현상학에서 시간의식과 연상」, 『철학과 현상학 연구』 62, 2014.
  • 「현상학 자연화의 함의와 한계: 신경현상학의 경우」, 『철학과 현상학 연구』 59, 2013.
  • 「객관적 시간 구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후설의 이론에 기초하여」, 『철학사상』 48, 2013.
  •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후설의 ‘한계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40, 2011.
  • 「예지와 근원현전 –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철학사상』 36, 2010.
  • 「후설의 절대의식-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철학과 현상학 연구』 44, 2010.​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팬데믹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서울: 앨피, 2022.
  • 『서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 서울: 박문사, 2022.
  • 『자동차의 역사』, 서울: 앨피, 2021.
  • 『현상학, 현대 철학을 열다』, 서울: 세창출판사, 2021.
  •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서울: 앨피, 2021
  • 『근교의 복권』, 서울: 앨피, 2021. (역서)
  • 『석유 이후』, 서울: 앨피, 2021. (역서)
  • 『소외와 가속』, 서울: 앨피, 2020. (역서)
  •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서울: 앨피, 2020.
  •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서울: 서광사, 2020. (역서)
  •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 서울: 앨피, 2019.
  • 『모빌리티와 인문학』, 서울: 앨피, 2019.
  • 『사물과 공간』, 서울: 아카넷, 2018. (역서)
  • 『과학기술 글쓰기』, 용인: 쿠북, 2014.
  • 『인문사회 글쓰기』, 용인: 쿠북, 2014.
  •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서울: 필로소픽, 2014.
  • 『비판적 사고와 토론』, 용인: 쿠북, 2014.

양명심

프로필

  • 대한일어일문학회 편집위원 (2024.03.~현재)
  • Mobility Humanities, 편집간사 (2022.01. ~ 현재)
  • 한국일본어문학회, 기획이사 (2021.03. ~2023.02 )
  • 전주대 인문과학종합연구소 연구교수 (2017.07. ~ 2018.06.)
  • 전주대 인문과학종합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14.07. ~ 2015.06.)
  • 건국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전임연구원 (2012.09. ~ 2014.06.)
  • 건국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HK연구교수 (2011.09. ~ 2012.08.)
  • 일본 고베대학, 인문학연구과 외국인연구원 (2009.11. ~ 2010.09.)

연구성과

  • 「재일(在日)작가 고 가쓰히로(呉勝浩)의 추리소설과 서사 전략―『도덕의 시간』과 『폭탄』을 중심으로」, 『日本文化学報』104, 2025.
  • 「모바일 생활세계와 가상공동체―『전차남(電車男)』의 서사구조와 수용자 감정」, 『日本文化学報』 101, 2024.
  • “Zainichi, Mobility, and Jeju Island: On the Representation of Island in the Novels of Kim Sokpom and Lee Yangji,” Kritika Kultura Vol. 43, 2024.
  • 「다문화 문학『파친코(PACHINKO)』에 재현된 자이니치(在日) 서사와 공동체 윤리」, 『日本文化学報』, 96집, 2023.
  • “The Ethical Structure of the Taxi-Based Narrative: Focusing on Taxi Crazy Rhapsody“,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6, No.4, 2022.
  • 「재일 문화의 이동과 여성의 권리 : 종합문예지 『땅에서 배를 저어라(地に舟をこげ)』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97, 2022.
  • 「자이니치(在日) 텍스트의 모빌리티 전환: 가네시로 가즈키의 ‘더 좀비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89, 2021.
  • 「디아스포라 서사와 강요된 모빌리티의 재현 -이회성의 『유역』을 중심으로-」, 『日本言語文化』 50, 2020.
  • 「재일조선인의 ‘조국’ 체험과 ‘서울’의 생산- 이회성의 『이루지 못한 꿈』과 이양지의 『유희』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83, 2019​.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84, 2019.
  • 「일본명 조선인 작가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모빌리티 재현: 다치하라 세이슈의 『겨울의 유산』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79, 2018​.
  • “Diaspora and Restoration of Self-ethics: Focused on Lee Hoe-sung, Zainichi Writer,”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Cultural Criticism 8(2), 2018.
  • 「재일작가의 이중의 마이너리티 서사 연구」, 『日本文化學報』 77, 2018.
  • 「『호르몬문화(ほるもん文化)』(1990∼2000)연구: ‘재일(在日) 문화’의 재해석」, 『日本語文學』 75, 2017.
  • 「재일조선인과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 -재일조선인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67권, 2016.
  • 「재일조선인 문학계보의 재해석 -잡지 『민도(民涛)』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68, 2016.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Literature through Homi K. Bhabha’s Hybridity and Cultural Translation Theories,”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2(5), 2015.
  • 「재일문예 『민도(民濤)』 연구: 『민도』의 서지 고찰과 이회성의 문제의식」, 『日本語文學』 62, 2014.
  • 「이회성의 새로운 상상력과 구성의 전환점 -『유역으로』를 중심으로-」, 『日本文化學報』 56, 2013.
  • 「이회성(李恢成)의 청춘소설을 통해서 본 일본 전후」, 『日本語文學』 52,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서울: 역락, 2018.
  •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서울: 앨피, 2016.
  •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사이』, 서울: 지금여기, 2012.

우연희

프로필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Managing Editor (2021.02. ~ 현재)
  • 한국일본어문학회, 정보이사 (2021.03. ~ 현재)

연구성과

  • “The Geopolitical Configuration of Okinawa in Post-war Japan,” Kritika Kultura 44, 2024.
  • 「모바일 생활세계와 가상공동체―『전차남(電車男)』의 서사구조와 수용자 감정」, 『日本文化学報』 101, 2024.
  • 「‘전후’ 일본의 공해 사건과 재현 양상 고찰-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를 중심으로-」, 『日本學』62, 2024.
  • 「오오카 쇼헤이 『구름의 초상』에 나타난 ‘전후’ 일본 텔레비전 전파 할당 양상 연구」, 『인문사회21』, 14(1), 2023.
  • “Meisho in Terms of Mobility and Literary Ethics: Meisho along Tokaido Gojusan-tsugi,”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6 No.3, 2022.
  • 「‘전후’ 일본의 상징 공간, ‘교외’ -기술의 발전과 교외의 변화를 중심으로-」, 『日本學』 55, 2021.
  • 「오오카 쇼헤이의 『들불(野火)』 다시 읽기 -병사의 이동과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88, 2021.
  • 「영화 <수상한 그녀>의 이동과 변용 양상 연구: 일본판 <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일본어문학』 91, 2020.
  • 「여행 텍스트와 모빌리티 -오오카 쇼헤이의 여행기에 그려진 유럽, 코르시카-」, 『日本語文學』 83, 2019.
  • 「모빌리티의 발달과 일본 교외의 형성」,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9(2), 2019.
  • 「모빌리티(mobility)와 민족의 이동 -정승박의 「균열의 흔적」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79, 2018.
  •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문제의식을 참조하며-」, 『日本文化學報』 74, 2017.
  •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들불』, 『포로기』, 『무사시노부인』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69, 2016.
  • 「오오카 쇼헤이의 『무사시노부인(武蔵野夫人)』 연구」, 『日本語文學』 58, 2013.
  • 「오오카 쇼헤이의 『덴추구미(天誅組)』연구 -전후적 맥락으로서의 『덴추구미』-」, 『日本語文學』 57, 2013.
  • 「「푸른 이리 논쟁」」을 통해 본 ‘전후’문학 작가로서의 오오카 쇼헤이」, 『日本語文學』 54,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 서울: 앨피, 2019.
  •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 서울: 한국문화사, 2018.
  • 『’조선’ 표상의 문화지』, 서울: 소명출판, 2011. (역서)
  • 『황후의 초상』, 서울: 소명출판, 2007. (역서)

임보미

프로필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Maniging Editor (2022.5.1.~ 현재)
  • 홍익대학교 외래교수 (2020.09.01.~2021.08.31.)
  •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2014.09.01.~2015.08.31.)

연구성과

  • 「난민 정책과 난민법 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대사회와 다문화』 14(3), 2024.
  • “Sexual Violence and Personality Rights in Virtual Spac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14(1), 2024.
  • 「반려동물의 대중교통 이용 향상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법과 정책연구』 23(3), 2023.
  • 「현행법상 장애(인) 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이동권 문제」,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12(2), 2022.
  • 「법정구속의 문제점과 개선책」,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61(2), 2020.
  • 「일본 재판원제도와 항소심」, 『형사정책』 31(1), 2019.
  • 「형사소송법상 상소제도의 변천과정과 그 의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59(1), 2018.
  • 「시민참여형 형사재판의 항소심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비교형사법연구』 19(3), 2017.
  •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피해자조력인의 개념과 역할」, 『성신법학』 15, 2015.
  • 「국민참여재판의 대상사건과 실시요건에 관한 검토- 국민사법참여위원회안과 법무부안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논총』 32(3), 2015.
  • 「이른바 “계속적 위험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미국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형사법연구』 16(1), 2014.
  • 「국민참여재판과 항소」, 『형사정책』 24(3),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박해리

프로필

  • 퀸 메리 런던대학교, 강의(2021.08.~2022.01.)
  • 미국 테네시대학교, 조교/강의(2015.08.~2016.12.)
  • 미국 테네시대학교 라이팅 센터, 튜터(2015.08~2016.08.)

연구성과

  • “Dramatising a Vicious Circle of the United States’ Hypermasculine Politics: Christopher Shinn’s Dying City”,”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71(1), 2025.
  • The House of Bernarda Alba by Federico García Lorca (review),” Theatre Journal 76(3), 2024.
  •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느린 폭력성’의 극화: 루시 커크우드의 The Children」, 『현대영미드라마』 37(2), 2024.
  • Global Neoliberal Capitalism and Feminism in Caryl Churchill’s Twenty-First Century Plays: Theatrical Forms and Affect, 2024.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Doctoral dissertation.

구동현

연구성과

  • “A Little Street Vending Stall in the Metropolis: Designerly Intervention and Urban Governance in Seoul,” Economy and Society, 53(2), 2024.
  • “A Sustainable City Made By Resident-Experts – How Designerly Intervention Enacts Rights of the Public and Urban Infrastructur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Online First, 2024.

이미애

연구성과

  • 「일본 나고야 지역의 전쟁 기억과 박물관」, 『比較日本學』 59, 2023.
  • 「오키나와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 박물관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70, 2023.
  • 「박물관과 역사수정주의에 관한 일고찰 –일본의 국공립 평화박물관에서의 ‘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日本文化研究』88,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