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개념을 렌즈 삼아 우리 문학, 그중에서도 시문학을 읽어 본다면? 이런 물음에서 시작된 책이다. 시를 읽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모빌리티 문제를 고려하면서 텍스트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독해 방법은 시 읽기를 재미있게 만들어 준다.
모빌리티 문제에는 언제나 ‘모빌리티 정의’의 문제가 결부되어 있음을 상기할 때, 모빌리티 렌즈를 통해 현대시를 읽어 봄으로써 시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당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문학의 정치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특히 1980~90년대에 발표된 시들에 주목하는데, 당시 한국은 산업화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도시화가 심화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쓰인 텍스트 역시 모빌리티 렌즈를 통해 독해할 때 한층 다채롭게 읽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