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에서 최근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8종을 출간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5월부터 7년 간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공-진화에 기초한 모빌리티인문학: 미래 인문-모빌리티 사회의 조망과 구현”이라는 아젠다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1년차 연구성과물의 하나로 연구총서 3종, 번역총서 5종을 출간했다.
연구총서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는 국내 인문학의 모빌리티 관련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담고 있다. 국내의 인문학자와 사회과학자들이 모빌리티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면서도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거의 인식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획된 이 연구총서들은 모빌리티 패러다임 아래 인문학 및 사회과학의 학제적 연구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총서들은 국제적인 모빌리티 연구를 선도하는 해외저명학자들의 연구성과를 국내에 소개하여 국내의 모빌리티 인문학 연구를 촉진하고자 한다. 모빌리티 연구를 이끄는 저명학자 피터 메리만(Peter Merriman)과 린 피어스(Lynne Pearce)가 편집한 《모빌리티와 인문학》은 사회과학을 넘어 인문학적 관점에서 모빌리티 연구를 전개할 것을 촉구한다. 또한 지난 10년 간 모빌리티 패러다임 아래 진행된 연구들을 정리한 《모빌리티 연구 10년, 모바일 장의 발자취》는 이른바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디아스포라 연구의 저명학자인 로빈 코헨(Robin Cohen)의 《다름과 만나기》와 데이비드 비셀(David Bissell)의 《통근하는 삶》은 우리가 흔히 인지하지 못하던 일상적 모빌리티를 독창적인 시각에서 조명한다. 또한 피터 애디(Peter Adey)의 《모빌리티 이론》은 모빌리티의 핵심 개념들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사례 연구들을 제시하는 등 모빌리티 패러다임으로의 훌륭한 입문서로 손색이 없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신인섭 원장은 “모빌리티인문학은 사회학에서 시작된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가진 한계를 직시하고 학제적 연구를 통해 그 지평을 넓혀갈 것”이라며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는 세계적 모빌리티 연구의 핵심 성과들을 확산하고 국내 모빌리티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