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형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부편집장 (2022.01. ~ 현재)
  • Mobilities, 편집위원 (2023.01 ~ 현재)
  •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History of Transport, Traffic and Mobility (T2M), 운영위원 (2021.11. ~ 현재)
  • Book Series “Posthumanities and Citizenship Futures” (Rowman and Littlefield), 자문위원 (2021.09. ~ 현재)
  • The Antoninus Journal, 인문학 부편집장 (2021.02. ~ 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편집위원 (2020.07. ~ 현재)
  • Tugkad, 편집위원 (2022.01. ~ 현재)
  • 한국근대문학회, 편집위원 (2016.01. ~ 현재)

연구성과

  • “Climate change, planetary biographies, and symbioticmobility,” Mobilities 19(5), 2024.
  • “Mobility Necropolitics and Harmless Islanders,” Kritika Kultura Vol. 43, 2024.
  • “Mobility, Empire, and “Island” in Colonial Korea,” Kritika Kultura Vol. 40, 2023.
  • “An Introduction to the Afterlife of “On the Road”,” Kritika Kultura Vol. 38, 2022.
  • “Mobility Infrastructure, Literary Ethics, and Anti-Colonial Politics,”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5-4, 2021.
  • “Introduction to the Kritike Special Issue: Philosophical Thoughts in the Age of High Mobility,” KRITIKE 14-3, 2021.
  • “Mobility Biopolitics and the Aquarium as a Paradigm of Political Space,” KRITIKE 14-3, 2021.
  • “Colonial Mobility and the Biopolitics of the Colonial Non-Place,” Kritika Kultura 36, 2021.
  • “Textual Representation of Colonial Mobilities and the Politics of Emancipation,”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7(5), 2020.
  • “Exploring Humanistic Layers of Urban Travel Representation, Imagination, and Speculation,” Transfers 9(3), 2019.
  • 「식민지 모빌리티 시스템과 사이공간의 생명정치」, 『구보학보』 23, 2019.
  • 「전후 일본인의 ‘업루티드'(uprooted)된 정체성과 혐한(嫌韓)​의 감정적 원천: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 『만엔 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ール)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31, 2019.
  • 「대안적 디아스포라 이해와 그 이론적 난국 (서평)」, 『다문화사회연구​』​ 12(1), 2019.
  • “Living the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9(1), 2019.
  •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 방법의 모색」, 『대중서사연구』 24(4), 2018.
  • “A Study on the Perspective for Zainichi Literary Studies in the High-Mobility Era,”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8(2), 2018.
  • “Art vs. Politics – Criticism on the Novel in Early Modern Korea,” UNITAS 91(1), 2018.
  • “Haim Haza​n, The Critical Reconsideration on the Hybridity in the Global Era (Review on Against Hybridity),”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5(3), 2018.
  • “Im Hwa, Hybridity, and the Anti-Colonial Politic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RITIKA KULTURA 30/31, 2018.
  •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대중서사연구』 23, 2017.
  • 「확장된 각색 인식과 상호텍스트성의 정치학」, 『대중서사연구』 22(4), 2016.
  •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일본어문학』 69, 2016.
  • 「대중서사와 문학의 ‘윤리적 전회’」, 『대중서사학회』 22(2), 2016.
  • 「민족문학, 제3세계 문학, 그리고 구원의 문학: 구중서의 민족문학론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7, 2016.
  • 「식민지 시기 여가와 불모의 헤테로토피아」, 『비평문학』 57, 2015.
  • “Mass Media and The Imagination of Multicultural “Talk”,” Universitas-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2(5), 2015.
  • 「치안의 유토피아와 정치의 (불)가능성」, 『한국학 연구』 37, 2015.
  • 「일제 말기 ‘역사’ 담론의 아포리아와 그 초극의 문제」, 『한국근대문학연구』 29, 2014.
  • 「신의와 효, 그리고 또 다른 도덕」, 『한국학연구』 32, 2014.​
  • 「‘출산(出産)’과 ‘황국신민(皇國臣民)’의 미래」, 『대중서사학회』 30, 2013.
  • 「식민지 말기 김남천과 글쓰기의 문제」, 『현대문학의 연구』 51, 2013.
  • 「임화와 문학의 정치」, 『비평문학』 46, 2012.
  • 「김남천, 식민지 말기 ‘역사’에 관한 성찰」, 『현대문학이론연구』 47, 2011.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바일 라이프』, 서울: 앨피, 2021. (역서)
  • 『모바일/임모바일』, 서울: 앨피, 2021. (역서)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혼종성 비판』, 서울: 앨피, 2020. (역서)
  •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 서울: 앨피, 2019.
  • 『모빌리티와 인문학』, 서울: 앨피, 2019. (역서)
  • 『한국학과 감성 교육』, 서울: 앨피, 2018.
  • 『각색 이론의 모든 것 : 무엇을 누가 왜 어떻게 어디서 언제』, 서울: 앨피, 2017. (역서)
  • 『혼종성 이후』, 서울: 앨피, 2017.
  • 『디아스포라 지형학』, 서울: 앨피, 2016.
  •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서울: 앨피, 2016.
  • 『구중서 그의 문학을 걷다』, 서울: 소명출판, 2015.
  •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서울: 소명출판, 2013.
  • 『현대 사회와 비판적 글쓰기』, 서울: 박이정, 2013.
  • 『바흐친의 산문학』, 서울: 책세상 2006. (역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