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희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부편집장 (2022.01. ~ 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윤리위원장 (2020.07. ~ 현재)
  • 한국현상학회, 편집이사 (2017.01. ~ 2018.12)
  • 한국현상학회, 총무이사 (2015.01. ~ 2016.12)
  • 박완서기금, 연구펠로우 (2013.06 ~ 2014.02)
  •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일반연구원 (2013.02 ~ 2014.02)
  • 독일 쾰른대학 Husserl Archiv, 초청연구원 (2008.09 ~ 2009.02)

연구성과

「시간의식 현상학 자연화의 의의와 한계」, 『인문학연구』 제39집, 2023.

「시간의식의 현상학과 신경과학: 인문학기반 융합연구로서의 신경현상학을 중심으로」, 『융합인문학』 제11권 2호, 2023.

“An Interview with Thomas Nail,” Mobility Humanities Vol. 2, No. 1, 2023.

“Introduction: Ontology of Movement as a Framework for the Mobility Studies,” Mobility Humanities Vol. 2, No. 1, 2023.

「고도 모빌리티 시대, 지구적 장소윤리를 위하여」, 『서강인문논총』 65, 2022.

“Interview with Mimi Sheller,” Mobility Humanities Vol.1, 2022.

“Introduction: Mobility Justice and the Era of (Post-)Pandemic,” Mobility Humanities Vol.1, 2022.

“Ethics of Place in a High-Mobility Era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5(4), 2021.

“From Immobility to Mobility: The Korean DMZ as a Heterotopia,”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2), 2021.

“How Mobility Technologies Change Our Lived Experienc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Sense of Agency in the Autonomous Vehicle,” Kritike 14(3), 2021.

“Significance of Kinaesthesis for Mobility Humanities: A Phenomenological Contribution to the New Mobilities Paradigm,” Universitas –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7(5), 2021.

「철학과 과학의 융합연구 방법론 모색-선행적재 현상학에 대한 메타연구 및 현상학적 연구」, 『철학사상』 75, 2019.

“Exploring Humanistic Layers of Urban Travel Representation, Imagination, and Speculation,” Transfers 9(3), 2019.

「체화된 인공지능의 상황과 환경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현상학과 현대철학』 83, 2019.

「모빌리티와 장소 현상학, 대중서사 연구의 한 관점 -데이비드 시먼의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52, 2019.

「모빌리티 인공지능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인공지능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과학철학』 21(3), 2018.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철학사상』 68, 2018.

「인공지능의 몸 : 현상학적 고찰」, 『철학과 현상학 연구』 73, 2017.

「동물의 마음을 어떻게 아는가?: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 기초하여」, 『철학논총』 86(4), 2016.

「동물의 인격 –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철학과 현상학 연구』 70, 2016.

「근원연상의 현상학」, 『철학연구』 106, 2014.

「발생적 현상학에서 시간의식과 연상」, 『철학과 현상학 연구』 62, 2014.

「현상학 자연화의 함의와 한계: 신경현상학의 경우」, 『철학과 현상학 연구』 59, 2013.

「객관적 시간 구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후설의 이론에 기초하여」, 『철학사상』 48, 2013.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후설의 ‘한계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40, 2011.

「예지와 근원현전 –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철학사상』 36, 2010.

「후설의 절대의식-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철학과 현상학 연구』 44, 2010.​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팬데믹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서울: 앨피, 2022.
  • 『서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 서울: 박문사, 2022.
  • 『자동차의 역사』, 서울: 앨피, 2021.
  • 『현상학, 현대 철학을 열다』, 서울: 세창출판사, 2021.
  •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서울: 앨피, 2021
  • 『근교의 복권』, 서울: 앨피, 2021. (역서)
  • 『석유 이후』, 서울: 앨피, 2021. (역서)
  • 『소외와 가속』, 서울: 앨피, 2020. (역서)
  •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서울: 앨피, 2020.
  •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서울: 서광사, 2020. (역서)
  •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 서울: 앨피, 2019.
  • 『모빌리티와 인문학』, 서울: 앨피, 2019.
  • 『사물과 공간』, 서울: 아카넷, 2018. (역서)
  • 『과학기술 글쓰기』, 용인: 쿠북, 2014.
  • 『인문사회 글쓰기』, 용인: 쿠북, 2014.
  •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서울: 필로소픽, 2014.
  • 『비판적 사고와 토론』, 용인: 쿠북,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