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국립대 아시아연구소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하기 위해 2001년 설립됐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반을 포괄하는 연구소는 특히 학문 간 경계를 넘는 융합적이고 학제적인 연구를 지향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학과 및 단과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세미나, 학술대회, 공동연구 등을 통해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왔다. 아시아의 소통 중심지인 싱가포르에 위치한 연구소는 아시아 지역을 넘어 전 세계 학자들이 교류하는 주요 학술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https://ari.nus.edu.sg/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공공도서관으로 2013년에 개관했다. 약 7만 권의 도서와 1,900종의 비도서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실용 중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주민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책만 읽는 곳”을 넘어, 주민의 삶 속에서 문화와 배움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공간, “문화와 학습이 결합된 복합문화도서관”이다.
https://www.seocholib.or.kr/
1981년 설립된 한국교통안전공단(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약칭 TS)은 국토교통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교통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https://main.kotsa.or.kr/main.do
세움은 수용자 자녀와 가족을 세상의 중심에 세우고 함께 걸어가기 위해 2015년 설립된 아동복지 전문단체이다. 부모의 범죄와 상관없이 가장 작기에 가장 절실한 0.5%의 수용자 자녀들이 안전한 보호 속에 건강하게 성장하며,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함으로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며, 복지사각지대의 아동이 세상의 차별과 편견을 넘어서도록 아동권리를 중심으로 인권옹호, 인식개선 활동을 통해 사회변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https://iseum.or.kr/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에 소재한 사립 남자고등학교인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동대부고)는 대한불교조계종 종립 교육기관이다. 1947년 개교 이래 불교의 지혜와 자비정신을 바탕으로 학술과 인격을 연마하여 이상세계를 구현하기 위한 정진을 거듭하여 현재 4만 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https://ddbk.sen.hs.kr/
1930년 6월 20일 조선불교여자청년동맹의 발의로 2년제의 명성학원을 현 조계사 경내에 설립하여 개교한 오랜 전통의 사립 고등학교이다. 2005년 3월 7일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2025년엔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가람고등학교가 되었다.
https://garam.sen.hs.kr/
건국대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는 1968년에 18학급으로 설립된 이후 2021년 제50회 졸업식까지 29,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현재 24학급으로 54명의 교직원과 620여명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https://konkuk.sen.ms.kr/
건국대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1980년에 개교하여 30여년의 역사속에서 다양한 분야에 인재가 배출되어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Dream-High 비전을 통하여 진로 집중과정과 맞춤형 진로 프로그램을 정착하였고, 교원학습공동체 및 수업 나눔을 통한 교사의 역량강화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소통 및 자원 공유를 통한 교육 활동을 강화 하고 있다.
https://konkuk.sen.hs.kr/index.do
서울시립과학관은 강북권역에 과학문화시설을 확충해 지역별 과학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서울의 권역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노원구 하계동에 서울시 최초로 2017년에 개관하였다. 청소년 대상 과학체험관으로 6개 상설전시관에 221종 전시물, 수도권과학관 순환전시물인특별기획전(사물의 역사2)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족이 함께 즐기는 과학 만들기 체험학습, 초․중․고 단체과학수업, 전문가 특강, 과학실험, 자연생태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 및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https://science.seoul.go.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