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편집간사 (2022.01. ~ 현재)
- 한국일본어문학회, 기획이사 (2021.03. ~ 현재)
- 전주대 인문과학종합연구소 연구교수 (2017.07. ~ 2018.06.)
- 전주대 인문과학종합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14.07. ~ 2015.06.)
- 건국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전임연구원 (2012.09. ~ 2014.06.)
- 건국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HK연구교수 (2011.09. ~ 2012.08.)
- 일본 고베대학, 인문학연구과 외국인연구원 (2009.11. ~ 2010.09.)
연구성과
- 「다문화 문학『파친코(PACHINKO)』에 재현된 자이니치(在日) 서사와 공동체 윤리」, 『日本文化学報』, 96집, 2023.
- “The Ethical Structure of the Taxi-Based Narrative: Focusing on Taxi Crazy Rhapsody“,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6, No.4, 2022.
- 「재일 문화의 이동과 여성의 권리 : 종합문예지 『땅에서 배를 저어라(地に舟をこげ)』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97, 2022.
- 「자이니치(在日) 텍스트의 모빌리티 전환: 가네시로 가즈키의 ‘더 좀비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89, 2021.
- 「디아스포라 서사와 강요된 모빌리티의 재현 -이회성의 『유역』을 중심으로-」, 『日本言語文化』 50, 2020.
- 「재일조선인의 ‘조국’ 체험과 ‘서울’의 생산- 이회성의 『이루지 못한 꿈』과 이양지의 『유희』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83, 2019.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84, 2019.
- 「일본명 조선인 작가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모빌리티 재현: 다치하라 세이슈의 『겨울의 유산』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79, 2018.
- “Diaspora and Restoration of Self-ethics: Focused on Lee Hoe-sung, Zainichi Writer,”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Cultural Criticism 8(2), 2018.
- 「재일작가의 이중의 마이너리티 서사 연구」, 『日本文化學報』 77, 2018.
- 「『호르몬문화(ほるもん文化)』(1990∼2000)연구: ‘재일(在日) 문화’의 재해석」, 『日本語文學』 75, 2017.
- 「재일조선인과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 -재일조선인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67권, 2016.
- 「재일조선인 문학계보의 재해석 -잡지 『민도(民涛)』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68, 2016.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Literature through Homi K. Bhabha’s Hybridity and Cultural Translation Theories,” MONTHLY RE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42(5), 2015.
- 「재일문예 『민도(民濤)』 연구: 『민도』의 서지 고찰과 이회성의 문제의식」, 『日本語文學』 62, 2014.
- 「이회성의 새로운 상상력과 구성의 전환점 -『유역으로』를 중심으로-」, 『日本文化學報』 56, 2013.
- 「이회성(李恢成)의 청춘소설을 통해서 본 일본 전후」, 『日本語文學』 52,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서울: 역락, 2018.
- 『한국다문화주의 비판』, 서울: 앨피, 2016.
- 『문학·민족·국가, ‘재일’문학과 제국사이』, 서울: 지금여기, 2012.
프로필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and Cultural Criticism, Managing Editor (2021.02. ~ 현재)
- 한국일본어문학회, 정보이사 (2021.03. ~ 현재)
연구성과
- 「오오카 쇼헤이 『구름의 초상』에 나타난 ‘전후’ 일본 텔레비전 전파 할당 양상 연구」, 『인문사회21』, 14(1), 2023.
- “Meisho in Terms of Mobility and Literary Ethics: Meisho along Tokaido Gojusan-tsugi,”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6 No.3, September, 2022.
- 「‘전후’ 일본의 상징 공간, ‘교외’ -기술의 발전과 교외의 변화를 중심으로-」, 『日本學』 55, 2021.
- 「오오카 쇼헤이의 『들불(野火)』 다시 읽기 -병사의 이동과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88, 2021.
- 「영화 <수상한 그녀>의 이동과 변용 양상 연구: 일본판 <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일본어문학』 91, 2020.
- 「여행 텍스트와 모빌리티 -오오카 쇼헤이의 여행기에 그려진 유럽, 코르시카-」, 『日本語文學』 83, 2019.
- 「모빌리티의 발달과 일본 교외의 형성」,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9(2), 2019.
- 「모빌리티(mobility)와 민족의 이동 -정승박의 「균열의 흔적」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79, 2018.
-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문제의식을 참조하며-」, 『日本文化學報』 74, 2017.
-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들불』, 『포로기』, 『무사시노부인』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69, 2016.
- 「오오카 쇼헤이의 『무사시노부인(武蔵野夫人)』 연구」, 『日本語文學』 58, 2013.
- 「오오카 쇼헤이의 『덴추구미(天誅組)』연구 -전후적 맥락으로서의 『덴추구미』-」, 『日本語文學』 57, 2013.
- 「「푸른 이리 논쟁」」을 통해 본 ‘전후’문학 작가로서의 오오카 쇼헤이」, 『日本語文學』 54,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모빌리티 텍스트학』, 서울: 앨피, 2021.
-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서울: 앨피, 2020.
-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 서울: 앨피, 2019.
-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 서울: 한국문화사, 2018.
- 『’조선’ 표상의 문화지』, 서울: 소명출판, 2011. (역서)
- 『황후의 초상』, 서울: 소명출판, 2007. (역서)
프로필
- Mobility Humanities, 편집간사 (2022.01.~현재)
-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 (2020.04.~현재)
- 재외한인학회 연구·편집·일반이사 (2015.01. ~ 현재)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총무이사 (2015.08.~2016.07)
- 한국아메리카학회 연구이사 (2014.01.~2017.12)
- 서강대학교 미국연구소, 연구교수 (2016.09.~2017.08)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2013.12.~2015.11)
- New York Immigration Coalition, 이민정책인턴 (2009.12.~2010.06)
연구 성과
- 「재미한인의 다원화와 디지털 디아스포라: 다인종 한인 자녀를 둔 부모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3권 1호, 2023.
- “Ethics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Utilization of Cyberspace and DNA Technology”,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terature, Vol.6, No.4, 2022.
- 「쿠바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한인의 연속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4(3), 2021.
- “Diaspora, Mobility, and Food Culture: Continuity and Change in Dietary Habits and Foodways among Korean Return Migrants from Latin America,” OMNES: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11(2), 2021.
- 「모빌리티 극대화 전략으로서의 재이주: 파독광산근로자의 캐나다 진출과 한인사회에의 기여」, 『다문화와 평화』 15(1), 2021.
- 「다인종 재미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하프코리안닷컴(HalfKorean.com)”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 연구』 14(2), 2020.
- 「Transnational Student Mobility: Educational and Social Experiences of Mixed-Race Koreans in Seoul」, 『다문화와 평화』 14(2), 2020.
- 「전직 파독광부의 재미한인사회 형성과 발전 기여에 관한 연구: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3(3), 2019.
- 「파독광부의 미국으로의 재이주와 직업변천 추이에 관한 연구: “훤한 지상에서 못할 일은 없었다”」, 『다문화콘텐츠연구』 32, 2019.
-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재외한인연구』 49, 2019.
- 「법제적 측면에서 고찰한 중남미동포의 교육이주와 모국수학 경험」, 『다문화와 평화』 12(2), 2018.
-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12(1), 2018.
-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모국수학 동기와 경험」, 『다문화콘텐츠연구』 27, 2018.
- 「중남미 한인 동포사회와 의류업: 기계, 기술, 초국적 네트워크」, 『OMNES: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8(1), 2017.
- 「중남미출신 한인 재이민자들의 국가 간 직업변화에 관한 고찰」, 『영미연구』 40, 2017.
- 「뉴욕의 다문화적 환경 속 재미한인과 남미계 이민자들의 종교교류에 관한 연구」, 『문학과종교』 21(2), 2016.
- 「중남미출신 한인 동포들의 초국가적 종교활동과 네트워크」, 『영미연구』 35, 2015.
- 「재이민과 직장 언어: 중남미출신 한인이민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0, 2015.
-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 『통일문제연구』 27(1), 2015.
- 「뉴욕거주 중남미출신 재이민자들: 교육, 가족, 계층이동」, 『영미연구』 30, 2014.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 Korean Immigrants from Latin America: Fitting into Multiethnic New York, Lanham: Lexington Books, 2021.
- 『모빌리티 생활세계학: 테크놀로지 도시공간 공동체』, 서울: 도서출판 앨피, 2021.
- Newcomers and Global Migration in Contemporary South Korea, Lanham: Lexington Books, 2020.
- 『복수국적(선천적 복수국적 포함) 관련 법제 고찰: 법제 개선방안 중심으로』, 제주: 재외동포재단, 2019.
프로필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Maniging Editor (2022.5.1.~ 현재)
- 홍익대학교 외래교수 (2020.09.01.~2021.08.31.)
-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2014.09.01.~2015.08.31.)
연구성과
- 「현행법상 장애(인) 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이동권 문제」,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12(2), 2022.
- 「법정구속의 문제점과 개선책」,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61(2), 2020.
- 「일본 재판원제도와 항소심」, 『형사정책』 31(1), 2019.
- 「형사소송법상 상소제도의 변천과정과 그 의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59(1), 2018.
- 「시민참여형 형사재판의 항소심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비교형사법연구』 19(3), 2017.
-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피해자조력인의 개념과 역할」, 『성신법학』 15, 2015.
- 「국민참여재판의 대상사건과 실시요건에 관한 검토- 국민사법참여위원회안과 법무부안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논총』 32(3), 2015.
- 「이른바 “계속적 위험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미국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형사법연구』 16(1), 2014.
- 「국민참여재판과 항소」, 『형사정책』 24(3), 2012.
-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서울: 앨피, 2023.
프로필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2019.07.01~2022.06.30.)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2017.03.01.~2020.02.29.)
- 미술사학연구회 총무이사 (2019.03.01.~2021.02.28.)
- 미술사학연구회 섭외이사 (2014.03.01.~2016.02.28.)
연구성과
- 「포스트휴먼 시대 한국 현대미술과 로봇」, 『탈경계인문학』 Vol.16 No.1, 2023.
- 「이형구와 포스트휴먼의 조건, 시선의 모빌리티」, 『아시아문화연구』 제60집, 2022.
-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노진아의 <제페토의 꿈>(2010)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제57집, 2021.
- 「포스트휴먼의 꿈, 최우람의 ‘기계 생명체’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 Vol.14 No.2, 2021.
- 「 테크노오리엔탈리즘과 동시대 미술: 피에르 위그의 <무제, 인간 가면>(2014)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제48집, 2020.
-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나는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8권 No.6, 2020.
- 「포스트휴먼시대 현대건축과 인간 신체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연구: 렘 쿨하스의 <보르도 하우스>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3집, 2019.
- 「SF 뉴웨이브의 풍경과 로버트 스밋슨의 영화 <<나선형 방파제>>의 상호관계성」, 『현대미술사연구』 제44집, 2018.
-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6 No.2, 2018.
- 「포스트휴먼시대 사이보그의 알레고리에 대한 연구: 아르 오리앙테 오브제의 <아마도 내 안에 말이 살고 있을지도 몰라>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2호, 2016.
- 「고든 마타-클락의 건물 절단에 투사된 가족이데아와 ‘가족로맨스’」, 『미술사학보』 제45집, 2015.
-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프로젝트“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세계관」,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
- 「영화 <시네마 천국>에서 푸른빛과 낭만적 동경」, 『한국뷔히너학회』 제40집, 2013.
- 「구스타프 쿠르베의 모순:<화가의 작업실>(1855)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
- 「루키노 비스콘티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나는 낭만주의적 세계」, 『문학과 영상』 제12권 2호, 2011 여름.
- 「틈: 지금·여기 소공동 112번지」,『현대미술학논문집』 제14호, 2010.
- 「엔트로피와 변증법의 관계: 로버트 스미슨의 <나선형 방파제>」, 『현대미술사연구』 제26집, 2009.
-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이 비인간을 만났을 때, 언캐니의 변증법적 전환」, 『친숙한 기이한』, 부산현대미술관, 2023.
-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포스트휴먼의 무대 2』(공저), 아카넷,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