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목록 보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빌리티 혁명: 과학 SNS


강의 정보

  • 일시2019-09-26
  • 장소서울시립과학관

강사

송경재

경희대학교 정치학 박사/ 전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행정정보화 에듀인 자문위원, 신문발전위원회 연구위원(인터넷 미디어 정책),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통신특별위원회 특별위원,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 정책포럼 위원, K-MOOC(한국형 온라인 강의) 세계시민교육 기획, 강의, 운영, 평가/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홍보정책자문위원,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교수/ 정치과정, 선거 캠페인 분석, 인터넷 정치학, 세계시민교육, 소셜 미디어 정치커뮤니케이션, 사회과학연구 방법론,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 등의 주요 연구 및 강의활동

모바일 기술과 교통의 발전, 이에 따른 이주와 이민, 사람과 물건, 컴퓨터와 컴퓨터, 정보와 자본의 이동 등 현대사회의 다양한 이동성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현재와 같은 정보통신기술과 교통의 발전 속도라면 앞으로 인류의 모빌리티성은 더욱 향상될 것임. 특히,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 ‘물질적 재화’에 비해 ‘정보재화(information goods)’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모빌리티 사회에서 이동성은 정보 재화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

로마시대의 미디어 : 편지(서신), 중세의 암흑기 문자의 급감을 거쳐 구텐베르크 활자의 발명으로 정보재화 이동의 일대 혁신을 가져온 뒤로, 근대 민주주의 혁명의 시작은 신문과 소책자에서 시작되게 됨.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하는 미래사회에서 정보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욱 부각될 것. 장기적으로 현명한 정보 소비가 중요한 사회가 올 것을 예상함. 다만, 온라인에서의 빠른 정보이동성에 따른 문제점도 분명히 인지해야 하며 온라인에서의 정보는 잘못된 정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잘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사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