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사회는 경제의 변화, 경제 영역에서의 모비리티 사회의 변화,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 정치의 변화, 복지의 변화상으로 표현되며, 복지 부문에서의 변화상도 향후 예상된다.
이러한 ICT기반 모빌리티 사회는 시민들 간 각종 정보 연계성의 강화, 시민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확대 가능, 네트워크 연계성의 강화 및 저렴한 참여 비용으로 인한 집단행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반해,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피해 우려, 정보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사이버 폭력, 과도한 네트워크 연계성으로 인한 정보 피로감의 가중, 불법.허위정보 또는 가짜뉴스(fake news)의 확산 등 예기치 못한 단점도 등장된다.
2019년 예기치 못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락다운 (lock down, 봉쇄 )되었지만, 오히려 코로나 19에도 모빌리티는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이제는 모빌리티 사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