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31] 기후변화와 관련한 인간 이동성과 인권-박병도 교수(건국대학교)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30] 난민 여성의 아래로부터의 초국주의: 뿌리와 여정 사이-김현미 교수(연세대학교)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9] 글로벌리즘과 한류-조영한 교수(한국외국어대학교)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8] 탈분단 지정학, 이동, 젠더의 교차성-탈북여성사업가들의 직업, 창업 경로의 비극적 자원과 공식/비공식 네트워크-신혜란 교수(서울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7]삶의 조건이 된 스마트폰: 미디어 생태학적 매개에 관한 사유-이동후 교수(인천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6]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전망-서성은 교수(한경국립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5] 모바일 생활세계로서의 빌보드 커뮤니티-백승한 교수(부산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24]독일의 숙련기술자중심 이민정책과 독일 한인사회의 변화-권자옥 교수(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3] 모빌리티스 패러다임 학부수업의 운영사례-최서희 교수(경희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2] 팬데믹 시대의 반지성주의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1] 팬데믹을 읽는 두 가지 방법: 사회구성론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0] 해상운송의 모빌리티: 다양하고 이질적인 속도들 - 이영준 교수(계원예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