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5] 모바일 생활세계로서의 빌보드 커뮤니티-백승한 교수(부산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24]독일의 숙련기술자중심 이민정책과 독일 한인사회의 변화-권자옥 교수(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3] 모빌리티스 패러다임 학부수업의 운영사례-최서희 교수(경희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2] 팬데믹 시대의 반지성주의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1] 팬데믹을 읽는 두 가지 방법: 사회구성론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20] 해상운송의 모빌리티: 다양하고 이질적인 속도들 - 이영준 교수(계원예술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19] 인공지능과 통제사회 - 백욱인 교수(서울과학기술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18] 코로나19를 사회이론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김홍중 교수(서울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17] 테크놀로지와 젠더: 기계가 여성이 될 때 - 임소연 교수(숙명여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16] 극한 기후에 적응하는 유목민, 이누이트 - 이승호 교수(건국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15] 순간포착의 역사: 19세기 사진과 움직임 - 이경률 교수(중앙대)
-
[모빌리티인문학 콜로키움 14] 파타피직스 세계의 기계와 인간 - 한의정 교수(충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