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7 |
KR000118 |
허구세계의 존재론 : 분석철학, ‘픽션’에 대해 묻고 답하다 |
미우라 도시히코 |
박철은 |
서울:그린비출판사 |
2013 |
175 철92 v.017 |
1058 |
KR000119 |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
이광석,김재희,심혜련,김성재,백욱인,이재현,홍성욱,이지언,오경미 |
|
서울:그린비 |
2016 |
501 철92 v.021 |
1059 |
KR000111 |
포스트휴먼의 무대 = ,Théâtres du posthumain |
이화인문과학원,LABEX arts-H2H 연구소 엮음 |
|
파주:아카넷 |
2015 |
331.54 포57 v.2 |
1061 |
KR000113 |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 : 공익을 위한 자발적 행동 |
로버트 페이턴,마이클 무디 |
이형진,김영수 |
홍천군:아르케 |
2017 |
338.17 로44 |
1062 |
KR000114 |
하이브리드 스펙트럼 = ,Hybrid spectrum : 진화하는 문화의 속성들 |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 편 |
|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12 |
331.5 하68 v.01 |
1063 |
KR000115 |
하이브리드 포이에시스 = Hybrid poiesis : 첨단과학기술에 관한 인문적 사유 |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 편 |
|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15 |
001.3 하68 v.07 |
1064 |
KR000110 |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 신체변형 미술과 바이오아트 |
전혜숙 |
|
파주:아카넷 |
2015 |
601 포57 v.05 |
1066 |
KR000108 |
포스트모던 시대의 정신 : 인본주의적 가치의 붕괴와 후기 근대의 디스토피아 = ,The spirit og the postmodern age : the collapse of the humanistic values and the postmodern dystopia |
신정현 |
|
서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 |
809 신74ㅍ |
1068 |
KR000106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
브뤼노 라투르 |
장하원,홍성욱 책임 번역 |
서울: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
2018 |
401 브296 v.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