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이 첫 번째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로 ‘모빌리티와 인문학'을 출간했다. 이번 총서는 영국 웨일스 아베리스트위스대학교 인문지리학과 피터 메리만(Peter Merriman)교수와 랭카스터대학교 문학과 문화이론 린 피어스(Lynne Pearce) 교수 등이 저술한 ‘Mobilities humanities'를 번역한 것이다.
이 책에는 모빌리티 연구를 사회과학의 산물로만 취급하는 단순한 설명 방식에 도전하고, ‘모빌리티 연구'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이 제시되어 있다. 주요내용으로는 자동차 모빌리티와 로드무비,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자동차 모빌리티, 이디스 워튼 감독의 영화 속 모빌리티, 조지 엘리엇 문학작품의 미시 모빌리티, 형식 모빌리티, 아동소설 속 아동기의 부동화, 19~20세기 전반기의 도시 이동, 운전에 대한 역사적 연구 등 모빌리티 연구 분야를 새롭게 조망하고, 그동안 인문학자들의 모빌리티 연구 성과도 함께 실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에서 간행하는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는 고-모빌리티 시대 인간적・사회적 난제들을 성찰하고 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는 크게 모빌리티 관련 연구서인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아상블라주', 번역서인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인터커넥트', 모빌리티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교양서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이맨시페이트' 이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출간된 ‘모빌리티와 인문학'은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인터커넥트' 의 첫 번째 총서이다.
![]() |
|||||
---|---|---|---|---|---|
|
관리자 |
|
120 |
|
2019.02.20 |
건국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원장 신인섭)이 첫 번째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로 ‘모빌리티와 인문학'을 출간했다. 이번 총서는 영국 웨일스 아베리스트위스대학교 인문지리학과 피터 메리만(Peter Merriman)교수와 랭카스터대학교 문학과 문화이론 린 피어스(Lynne Pearce) 교수 등이 저술한 ‘Mobilities humanities'를 번역한 것이다.
이 책에는 모빌리티 연구를 사회과학의 산물로만 취급하는 단순한 설명 방식에 도전하고, ‘모빌리티 연구'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이 제시되어 있다. 주요내용으로는 자동차 모빌리티와 로드무비,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자동차 모빌리티, 이디스 워튼 감독의 영화 속 모빌리티, 조지 엘리엇 문학작품의 미시 모빌리티, 형식 모빌리티, 아동소설 속 아동기의 부동화, 19~20세기 전반기의 도시 이동, 운전에 대한 역사적 연구 등 모빌리티 연구 분야를 새롭게 조망하고, 그동안 인문학자들의 모빌리티 연구 성과도 함께 실었다.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에서 간행하는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는 고-모빌리티 시대 인간적・사회적 난제들을 성찰하고 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모빌리티인문학 총서'는 크게 모빌리티 관련 연구서인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아상블라주', 번역서인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인터커넥트', 모빌리티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교양서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이맨시페이트' 이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출간된 ‘모빌리티와 인문학'은 ‘모빌리티 휴머니티즈 인터커넥트' 의 첫 번째 총서이다.
건국대는 최근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을 개원하고 '모빌리티 이론'과 '모빌리티와 인문학' '모바일 장의 발자취' 등 세 권의 번역서를 발간했다. 모빌리티라고 이름 붙인 국내 대학의 인문학 연구원은 처음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에 선정된 이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에만 번역서와 학술서, 대중 교양서 등 9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앞으로 7년간 100권의 총서 발간이 목표다.
오는 6월에는 영국 랭커스터대의 '모빌리티 연구센터'와 공동 학술대회를 영국에서 열고, 10월엔 미국·영국·호주 등 10개국에서 참여하는 국제 학술대회를 한국에서 개최한다. 신인섭 원장은 “21세기 인간은 가만히 머무르거나 멈춰 선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움직이는 존재”라며 “인문학도 학제 간 융복합을 넘어 '영역 파괴'라는 열린 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모빌리티 인문학'은 유럽에서도 1990년대 들어서 본격 연구되고 있는 '신생 학문'이다. 2007년 저서 '모빌리티'를 펴낸 영국 사회학자 존 어리(1946~2016)의 말에 따르면 “조기 은퇴자, 국제 유학생, 테러리스트, 해외 이주자, 행락객, 사업가, 노예, 스포츠 스타, 망명 신청자, 난민, 배낭족, 통근자, 젊은 모바일 전문직 종사자, 매춘부 등을 포함한 수많은 사람”이 연구 대상이다. 공항 터미널과 철도역, 고속도로와 소셜미디어의 네트워크가 관찰 현장. 김한상 아주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전까지는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국가·지역 등으로 고정돼 있었다면, 지금은 그 영역과 경계가 급속히 무너지고 있다”면서 “대중교통 인프라 같은 정책적 연구뿐 아니라 역사·문학 등 인문학에서도 이동이라는 주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유럽에서는 자동차·철도·항공 회사와 연구기관의 산학(産學) 협동도 활발하다. 실례로 프랑스 철도공사(SNCF)는 2011년 연구기관 '이동적 삶 포럼'을 만들고 저탄소 에너지 이용 방안이나 철도역의 언어 장벽 개선 같은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독일 BMW 역시 모빌리티 연구소(IMFO)를 통해서 자율 운행 차량과 신사업 모델, 운전자 인구 변화 같은 주제들을 파고들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자전거 관련 경험과 연구 사례를 전 세계와 공유하기 위해 '네덜란드 자전거 대사관(Dutch Cycling Embassy)'이라는 프로젝트를 도입했다.
테러와 난민, 실종자 수색이나 감시 카메라(CCTV) 설치 등 모빌리티의 연구 영역도 계속 확장되고 있다. '존 어리, 모빌리티'를 펴낸 이희상 대구가톨릭대 겸임교수는 “'모빌리티 인문학'은 학문적 역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의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고 사회학·지리학·건축학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초(超)분과 학문'이란 점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25/2019032500143.html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모빌리티 인문교양센터에서는
1. 신청 대상 및 개요
신청과목: 모빌리티인문학 관련 교과목(붙임1. 예시 참조)
신청기간: 2019년 3월 27일(수) ~ 4월 12일(금)
신청유형 |
구분 |
개발 분량 |
유형Ⅰ |
3강 개발(A4 15매 이상) |
|
유형Ⅱ |
1강 개발(A4 5매 이상) |
신청 유형
❍ 집 필 비: 1강 기준 (100분 강의용) 20만원
제출서류: <붙임2 – Mobility hi-Story 100강 강의 개발 집필자 신청서>
심사결과 발표: 2019년 4월 19일(금) 예정(선정자 개별 연락)
문의 및 제출처:
담당부서 |
전화번호 |
이메일 |
모빌리티 인문교양센터 |
02-455-3767 |
mobilityedu@konkuk.ac.kr |
이메일 접수
집필기간: 3강 개발시 계약체결 이후 ~ 1개월간
1강 개발시 계약체결 이후 ~ 2주간
(집필양식은 추후 안내)
강의대상: 청소년(중·고교)층, 중·장년층, 소외계층 등 일반 대중.(강의 개발시 선택하여 집필)
집필분량: 강의내용은 1강당 A4 5매 이상. (3강 개발의 경우 총 A4 15매 이상)
(본문은 한글 문서 양식을 기본으로 하며, 글자크기 10포인트, 줄간격 160으로 작성)
2. 응모자격
신청자는 모집분야 관련 다음 각 호의 신청자격 중 하나를 갖춘 자
박사학위 취득자 또는 석사학위 취득 후 관련 강의 경력 5년 이상인 자
인문학 교과목 관련 분야 강의 경력 5년 이상인 자
기타 위와 동등이상의 자격자로 모빌리티인문학 연구단장이 인정한 자
3. 기타
강의는 모빌리티 인문교양센터와 교류 협약을 체결한 기관에서 강의함을 전제로 하여 집필함.
(강의료 별도 지원 / 20만원(1강 100분)
개발된 강의 내용 및 자료의 사용권한은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에 귀속됨.
<모빌리티 Hi-story 100강 특강> 안내
■ 주제: 모빌리티 과학기술의 진화와 통찰력있는 미래의 인재
■ 일시: 2019년 3월 30일(토) 오전 10:00~11:30
■ 대상: 동대부속여고 영재학급 입학생 및 학부모
■ 장소: 동대부속여고 샛별관 3층 보리수홀
■ 강사: 송경재 (경희대학교 연구교수)
■ 문의처: 02) 450-3768
■ 주최/주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인문교양센터, 동국대학교부속여자고등학교
■ 후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건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