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프로필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2019.07.01~2022.06.30.)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2017.03.01.~2020.02.29.)
- 미술사학연구회 총무이사 (2019.03.01.~2021.02.28.)
- 미술사학연구회 섭외이사 (2014.03.01.~2016.02.28.)
연구성과
- 「포스트휴먼 시대 한국 현대미술과 로봇」, 『탈경계인문학』 Vol.16 No.1, 2023.
- 「이형구와 포스트휴먼의 조건, 시선의 모빌리티」, 『아시아문화연구』 제60집, 2022.
-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노진아의 <제페토의 꿈>(2010)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제57집, 2021.
- 「포스트휴먼의 꿈, 최우람의 ‘기계 생명체’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 Vol.14 No.2, 2021.
- 「 테크노오리엔탈리즘과 동시대 미술: 피에르 위그의 <무제, 인간 가면>(2014)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제48집, 2020.
-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나는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8권 No.6, 2020.
- 「포스트휴먼시대 현대건축과 인간 신체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연구: 렘 쿨하스의 <보르도 하우스>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3집, 2019.
- 「SF 뉴웨이브의 풍경과 로버트 스밋슨의 영화 <<나선형 방파제>>의 상호관계성」, 『현대미술사연구』 제44집, 2018.
-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6 No.2, 2018.
- 「포스트휴먼시대 사이보그의 알레고리에 대한 연구: 아르 오리앙테 오브제의 <아마도 내 안에 말이 살고 있을지도 몰라>를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22호, 2016.
- 「고든 마타-클락의 건물 절단에 투사된 가족이데아와 ‘가족로맨스’」, 『미술사학보』 제45집, 2015.
- 「로버트 스미슨의 ”개간프로젝트“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세계관」, 『미술이론과 현장』 제15호, 2013.
- 「영화 <시네마 천국>에서 푸른빛과 낭만적 동경」, 『한국뷔히너학회』 제40집, 2013.
- 「구스타프 쿠르베의 모순:<화가의 작업실>(1855)을 중심으로」, 『미술이론과 현장』 제11호, 2011.
- 「루키노 비스콘티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나는 낭만주의적 세계」, 『문학과 영상』 제12권 2호, 2011 여름.
- 「틈: 지금·여기 소공동 112번지」,『현대미술학논문집』 제14호, 2010.
- 「엔트로피와 변증법의 관계: 로버트 스미슨의 <나선형 방파제>」, 『현대미술사연구』 제26집, 2009.
-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이 비인간을 만났을 때, 언캐니의 변증법적 전환」, 『친숙한 기이한』, 부산현대미술관, 2023.
-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포스트휴먼의 무대 2』(공저), 아카넷, 2017.